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는 2030 남성들이 국민의힘 홍준표 의원을 지지한 이유를 분석한 글을 공유한 것과 관련해 “거기에 동의해서 (공유)한 것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 후보는 10일 관훈클럽 초청 토론회에서 해당 글을 공유한 이유를 묻는 질문에 “저와는 매우 다른데 이런 주장을 하는 사람도 있으니 최소한 외면은 말고 직면하자는 차원 이었다”고 답했다.
앞서 이 후보는 ‘2030 남자들이 펨코에 모여서 홍(洪)을 지지한 이유’라는 제목의 글을 비공개 선거대책위원회 회의에서 언급하고 일부 의원에게 공유했다. 해당 글의 결론에는 이 후보가 문재인정부와 차별화해야 한다는 주장과 민주당의 페미니즘 정책을 비판하는 내용 등이 담겼다.
글쓴이는 “민주당은 각종 페미니즘 정책으로 남자들을 역차별했다. 이재명이 문재인 정부의 페미 우선 정책과 차별화를 이뤄 낼 수 있다면 이들의 지지를 얻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해당 글은 친여 성향 온라인 커뮤니티로 꼽히는 딴지일보에 올라왔다.
펨코는 온라인 커뮤니티 ‘에펨코리아’의 줄인말이다. 펨코에서는 최근 홍준표 의원에 대한 2030 세대의 지지세가 강하게 표출됐다.
이 후보는 이날 토론에서 남녀 평등을 강조하면서 “남녀별·지역별·계층별을 떠나 부당하고 불합리한 차별을 받지 않게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여성의 입장에서도 여성이라고 특별히 배려받는 기분이 좋지 않고 여성 우대 등을 바라지 않는 것 같다”라고 말했다.
이 후보는 “(정책이) 더 섬세해져야 한다”며 “(여성정책이) 부분적으로 갈등과 비효율을 야기하는 측면이 있다”고 평가했다. 이 후보는 “비효율을 제거하고 효율적인 면을 키우면 좋겠다는 생각에, 고민 끝에 여성가족부를 폐지하자는 이야기를 한 것”이라고 밝혔다.
이 후보는 전날 페이스북에서 여성가족부를 평등가족부나 성평등가족부로 바꾸고 일부 기능을 조정하자고 제안하면서 “여성이라는 이유로 차별받아서는 안 되는 것처럼 남성이라는 이유로 차별받는 것도 옳지 않다”고 말했다. 2030 세대 남성들의 표심 잡기에 나섰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 후보는 토론에서 “다만 우리 사회는 남녀차별 격차가 현존한다”며 “제가 알기로는 성 할당제로 인해 공무원 임용 등의 분야에서 오히려 남자가 혜택을 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나성원 기자 naa@kmib.co.kr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