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수혁 주미대사가 9일(현지시간) “종전선언 문제와 관련해 한·미 간 긴밀히 협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반도 종전선언에 대해 한국과 미국 간 시각 차이가 있는 것 아니냐는 일각의 관측을 불식시키려는 것으로 풀이된다.
이 대사는 이날 미국 워싱턴DC 한국문화원에서 가진 특파원 간담회에서 “한·미 간에 종전선언 문안까지 의견을 교환하고 있다”며 “종전선언 문제에 대한 적극적이고 창의적인 노력을 계속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한·미 간 협력의 외연과 지리적 범위에 대한 긴밀한 협의가 진행 중”이라며 “지리적 범위 확장은 인도·태평양에서 협력을 포함해 전 세계적 관심 사항에 대한 한국 정부의 참여를 뜻한다”고 설명했다.
앞서 제이크 설리번 미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지난달 26일 종전선언과 관련해 “(한·미가) 순서, 시기, 조건에 관해 다소 다른 관점을 갖고 있을지도 모른다”고 언급했다. 이를 두고 한·미 양국의 온도차가 존재한다는 관측이 나왔다. 이 대사의 이번 발언은 이를 염두에 둔 것이라는 해석이 나오는 이유다.
한·미 양국은 종전선언 문안을 놓고 협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구체적인 문안의 교섭까지 논의가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양 당사자는 종전선언의 방향성이나 동기, 목적에 공감대를 형성했고, 세부 문안을 놓고 법률적 차이가 있어 협의 중이라고 한다.
다만 북한과 직접적으로 종전선언에 대한 대화는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한·미 간 논의가 일정 수준 이상 진행된 이후 대화를 진척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전날에는 미국 민주당 소속 연방하원 의원 22명이 조 바이든 대통령에게 한국전쟁 종전선언을 촉구하는 서한을 전달하기도 했다. 브래드 셔먼 의원 등 22명은 지난 5일 바이든 대통령에게 서한을 보내 “남·북·미 간 종전선언은 북한에 대한 양보가 아니며 오히려 미국과 동맹 모두의 국익에 도움이 되는 평화를 위한 중요한 단계”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남북한 긴장에 대한 외교적 해법을 추구해야 하는 시기가 너무 늦었다”며 “수십년 전 이 분쟁이 끝났음에도 평화협정은 공식적으로 서명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구자창 기자 criti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