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가부 바꾸겠다는 이재명 “남성도 차별받아선 안돼”

입력 2021-11-09 22:32 수정 2021-11-09 22:33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9일 “여성이라는 이유로 차별받아서는 안 되는 것처럼 남성이라는 이유로 차별받는 것도 옳지 않다”며 여성가족부(여가부)의 이름과 조직을 바꾸자고 제안했다.

이 후보는 이날 자신의 사회적관계망서비스(SNS)에 글을 올려 “여성 남성 간 갈등을 둘러싸고 여러 논란이 있다. 저성장으로 인한 기회 총량 부족, 그로 인한 경쟁 격화가 근본 원인인데 정치권과 언론에서는 젠더 갈등으로 문제를 부추기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정치의 중요한 책무는 사회적 갈등을 해소하고 통합을 이루는 것”이라며 “정치권이 문제해결에 집중하지 못하고 오히려 갈등을 조장하고 있지 않나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문제해결의 단초는 성장회복을 통해 기회 총량을 늘리는 것에 있다”며 “경쟁의 희생양이 되지 않도록 성장회복에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 후보는 “차제에 여성가족부를 평등가족부나 성평등가족부로 바꾸고 일부 기능조정을 하는 방안을 제안한다”며 ”여전히 우리 청년층과 여성에게 결혼과 출산, 육아는 큰 부담이다. 모두의 부담을 덜어줄 수 있는 정책, 실제 삶에 분명히 체감되는 정책들을 추진하겠다고 약속드린다”고 강조했다.

구체적인 안으로는 육아 여건 개선을 첫 번째로 꼽았다. 그는 “일·가정양립을 위한 남녀 육아휴직 확대, 돌봄 공백 해소를 위해 적극적으로 예산을 투자하고, 돌봄 노동자의 처우도 개선하겠다”고 말했다.

이 후보는 또한 남성보다 열악한 여성노동자들의 처우도 강조했다. 그는 “OECD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성별 임금 격차는 20202년 기준 31.5%로 회원국 중 가장 심각하다. 남성이 100만원을 받을 때 여성은 68만5000원을 받는다”며 최저임금을 받은 여성노동자가 22.9%로 남성노동자(11.3%)에 비해 너무 높다는 점을 지적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한 정책으로는 성별임금공시제 도입을 꼽았다.

채용 시장에서의 성차별도 과제로 내세웠다. 이 후보는 “최근 남양유업 사태처럼 육아휴직 후 퇴사를 종용당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2018년 금융감독원 감사에서는 일부 은행의 채용 성차별 비리실태가 드러나기도 했다”며 국가 차원의 관리 감독 강화를 약속했다.

마지막으로 여성 정치참여 확대를 내걸었다. 그는 “21대 국회의 여성 비율은 19%에 불과하다. 선진국보다 턱없이 낮은 비율”이라며 “정부와 정당이 여성 정치참여 확대를 위한 실질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용현 기자 fac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