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의 탈석탄 정책, 해외도 주목했다

입력 2021-11-09 15:07
전날 일본 닛케이 아시아와 인터뷰를 진행 중인 양승조(가운데) 충남도지사. 충남도 제공

충남도의 탈석탄 전환 정책을 두고 해외 언론에서도 관심을 표하고 나섰다.

9일 충남도에 다르면 양승조 지사는 영국에서 진행 중인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COP26)’에서 안도 기요시 일본 닛케이 아시아 수석기자 겸 논설위원과 인터뷰를 가졌다.

전날 대한민국 협상단실에서 진행된 인터뷰는 탈석탄에 대한 충남도의 입장, 국가 석탄화력발전 정책과 충남도의 에너지 전환 정책의 연계성 등을 다뤘다.

탈석탄에 대한 도의 입장에 대해 양 지사는 “충남은 대한민국 화력발전소 59기의 절반인 29기가 있고, 온실가스 배출량과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이 전국 최고 수준인 곳”이라며 “지금의 절박한 상황이 대한민국 탈석탄 운동을 선도적으로 추진하는 계기가 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현재 기술력으로 석탄화력을 폐쇄하지 않고는 2050 탄소중립 실현이 어렵다”면서도 “화석연료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액체로 만들어 저장하는 기술(CCS), 혹은 화석연료를 사용하면서 생기는 탄소의 대기 방출을 봉쇄할 수 있는 기술(CCUS)이 획기적으로 발전한다면 석탄화력발전소 폐쇄 시점과 대상을 다시 고려해 볼 수 있다”고 했다.

양 지사는 2040년까지 석탄화력 발전량을 20% 감축하고, 재생에너지 자립률을 40% 이상 높이는 것을 목표로 태양광 8961㎿와 연료전지 1700㎿를 보급한다는 계획도 내놨다.

특히 G20·COP26 리더들이 매몰비용과 각종 이해 관계를 따르기 때문에 탄소중립과 관련된 혁신적인 정책을 추진하기 어렵다는 점도 지적했다.

그는 “탁상공론이나 선언적 기후 발표에 멈추지 않도록 지속적인 확인과 점검, 국제 협력이 필요하다”며 “극단적 이변으로 가장 많은 피해를 받는 것은 기후변화 대처 능력이 부족한 저개발국가 및 개발도상국이다. 혁신 기술을 공유하는 시스템을 갖춰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홍성=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