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하이닉스 발전소 건립 허가에 환경단체 반발

입력 2021-11-09 11:22

충북 청주시가 SK하이닉스의 LNG(액화천연가스) 발전소 건립을 허가해 환경단체가 거세게 반발하고 나섰다.

29개 환경·시민단체로 구성된 미세먼지 해결을 위한 충북시민대책위원회는 9일 시의 건축 허가를 규탄하는 성명을 내고 “발전소 건설 허가는 SK하이닉스와 지역주민과의 상생방안이 마련된 뒤에 해도 늦지 않는다”며 “온실가스 저감계획 마련도 없이 LNG발전소 건설 허가를 승인한 것은 청주시 스스로 2050 탄소중립을 포기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대책위는 “기후 위기는 85만 청주시민의 삶의 질을 좌우하는 문제를 넘어 삶을 유지할 수 있느냐 없느냐의 문제”이라며 “청주시는 무능함과 무책임함으로 일관으로 하고 오히려 SK하이닉스의 후수인 노릇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대책위는 이어 “기후위기라는 절벽으로 85만 청주시민을 내몰고 있는 시는 85만 시민을 기만했다”며 “시민들과 함께 SK하이닉스 LNG 발전소 건설 저지를 위해 싸울 것”이라고 전했다.

대책위는 오는 12일 청주시청에서 SK하이닉스 LNG발전소 건립반대 규탄집회를 열 계획이다.

시는 전날 SK하이닉스가 흥덕구 외북동 청주테크노폴리스에 짓겠다며 지난 9월 낸 LNG 발전소 건축을 허가했다. SK하이닉스는 8000억원을 들여 585㎿급 LNG 발전소를 2023년까지 건립하게 된다. 이르면 올해 착공하게 된다. SK하이닉스는 늘어난 반도체 생산량에 맞춰 전력수급의 안정성을 확보해 정전 사고 등에 대비하겠다는 입장이다.

충북경제연구원은 LNG 발전소가 건립될 경우 8200명의 고용 창출 효과와 1조7900억원의 생산유발, 5450억의 부가가치유발을 예상하고 있다.

지난해 6월 환경부는 대기질 개선 방안 등을 보완하는 조건으로 이 사업에 동의했으며, 사업의 인허가 권한을 가진 산업통상자원부는 공사계획을 승인했다.

시는 지난해 10월 정부의 탄소중립 선언 후 2050년까지 탄소 실질배출량을 ‘0’으로 만들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탄소 중립은 개인이나 회사, 단체에서 배출한 만큼의 온실가스(탄소)를 다시 흡수해 실질 배출량을 ‘0’으로 만드는 것을 말한다.

시는 SK하이닉스의 LNG열병합발전소 건설 관련 상생협의회를 운영한다. 시민과 시민단체 등 11명으로 구성된 상생협의회는 발전소 건설로 발생하는 질소산화물(NOx) 배출량만큼 지역 내에서 발생하는 질소산화물을 저감하는 방안을 논의할 계획이다.

청주=홍성헌 기자 adh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