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 넘나드는 정권교체론 원인은 ‘달라진 게 없는 삶’… 이재명측 내부 분석

입력 2021-11-09 05:01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당면한 난제 중 하나는 60%를 넘나드는 정권교체론이다. 이 후보 측은 이같은 불만의 원인을 ‘아무것도 바뀐 게 없는 국민의 삶’에서 찾고 있다. 지난 4년간 민주당과 문재인정부에 힘을 실어줬지만 정작 민생이 개선되지 않았다는 실망감의 표출이란 분석이다.

한국사회여론연구소가 TBS 의뢰로 지난 5~6일 성인 1009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여론조사 결과를 보면 차기 대선의 성격을 묻는 질문에 53.6%가 ‘정권이 교체돼야 한다’고 응답했다. 정권재창출 응답은 37.0%에 그쳤다.

정권교체 응답률은 지난 9월(49.8%)부터 높아지는 추세다(그 밖의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이 후보 측은 이 현상을 여러 각도로 분석하고 있다. 이 후보 측 핵심 관계자는 8일 “정권교체 요구는 갑자기 터져나온 게 아니다”며 “촛불정국을 통해서 촛불정부를 만들었고, 국회에도 180석을 몰아줬고, 지방권력까지 모두 민주당에 몰아줬는데, 삶이 아무것도 나아지지 않았다는 축적된 불만이 터져 나오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부동산과 일자리, 양극화 등 국민이 체감하는 민생 현안들을 제대로 챙기지 못한 점을 불만이 표출되는 구체적 지점으로 보고 있다.

문재인정부의 ‘개혁 드라이브’는 이런 불만에 불을 붙였다. 민주당 한 관계자는 “지금 당장의 삶이 팍팍한데, 검찰개혁·언론개혁 등 개혁에만 천착하는 정부와 당의 모습에 실망한 대중이 적지 않은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이런 현상이 부정적인 시그널인 것은 맞지만 이 후보에게 치명적인 걸림돌이 될 것으로는 보지 않는 분위기다. 이 후보가 문재인정부와의 차별점을 뚜렷하게 제시하면 충분히 돌파 가능한 문제라고 보는 것이다.

이 후보의 최근 행보는 이런 불만에 대한 대응 차원으로 볼 수 있다. 이 후보는 선대위가 출범하자마자 소상공인·자영업자 손실보상금 최저액 인상, 전국민 재난지원금 추가지급 등 코로나19로 팍팍해진 민생과 밀접한 현안에 의견을 제시하고 있다.

요소수 사태가 터지자마자 예정에 없던 회의를 개최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이 후보 측 다른 관계자는 “‘문제가 터졌는데, 정부는 뭘 하고 있느냐’는 게 국민이 가장 답답해하는 지점”이라며 “문제가 작든 크든 간에 회피하지 않고 곧장 개입해서 해결하려는 이 후보의 스타일을 보여주는 장면”이라고 말했다.


정권교체 요구를 바라보는 조금 다른 관점도 있다. 민주당의 한 의원은 “높은 정권교체 요구는 정권 말기에 나타나는 당연한 현상”이라며 “대선의 향방을 가르는 지표가 될 수 없다”고 말했다. 김대중정부와 이명박정부 말에도 정권교체 요구가 높았지만, 각각 노무현정부, 박근혜정부로 정권이 재창출된 사례를 들었다. 정권교체 요구가 곧장 야당 후보 지지로 이어지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이 의원은 “정권교체라는 말 속에는 정권교체, 대통령교체, 기득권 교체 등 다양한 말들이 혼재돼 있다”며 “정권교체를 요구하는 사람들이 저마다 다른 지향점을 갖고 있다는 말”이라고 덧붙였다.

오히려 이 후보에게 기회 요인이 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다른 민주당 관계자는 “2002년에도 새로운 정치세력의 출현을 열망하는 국민의 요구가 노무현 전 대통령의 당선으로 이어진 바 있다”며 “(성남시장과 경기지사라는) 작은 권력으로도 많은 변화를 이끌어 냈던 이 후보가 지금의 정권교체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현수 기자 jukebo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