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 신공항’ 건설 싸고 지역 논쟁 다시 ‘후끈’

입력 2021-11-08 15:44
전북경영자총협회 회원들이 8일 전북도청 앞에서 새만금신공항 조기 건설을 촉구하는 성명을 발표하고 있다. 전북경영자총협회 제공.

새만금신공항 건설을 둘러싸고 전북지역에서 찬반 논쟁이 다시 뜨겁다. 최근 환경시민단체들이 ‘새만금국제공항은 미 공군 제2 활주로 건설 사업에 불과하다’며 철회를 주장한데 대해 지역 상공인들의 반박이 이어지고 있다.

전북경영자총협회는 8일 전북도청 앞에서 성명을 발표하고 “새만금 국제공항은 도민의 꿈과 희망”이라며 “공항의 차질 없는 추진과 조속한 완공을 위해 도민 모두가 힘을 모아달라”고 촉구했다.

협회는 “국제공항은 전북지역 물류 허브이자 새만금 개발의 화룡점정”이라며 “그러나 일부 환경론자들은 2006년 대법원 판례로 일단락된 새만금 환경문제를 다시 꺼내 들더니 이번에는 ‘미 공군 제2 활주로 건설 사업’이라는 말도 안 되는 주장을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협회는 또 “우리 도민은 정부를 믿고 새만금 개발에 30년을 기다렸고 공항 건립은 반세기를 기다렸다”며 “공항 등 기반시설은 지역간 불균형을 조정할 수 있는 핵심 수단이며 산업 규모를 키우고 양질의 일자리를 만들기 위해서는 교통물류 시스템의 구축이 필수적”이라고 주장했다.

앞서 전라북도상공회의소협의회도 지난 5일 새만금신공항의 조기 건설을 촉구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협의회는 “새만금 국제공항은 국토교통부에서 발표한 제6차 공항개발종합계획에 명시된 사업이자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 권역 내 항공 수요 처리가 가능하도록 설계된 분명한 신공항이다”고 밝혔다. 이들은 특히 새만금국제공항의 ‘유로도’ 설치 문제는 “국내 다른 공항들과 같이 비상시 다른 공항을 이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것과 같은 맥락이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새만금신공항백지화공동행동이 2일 전북농업인회관에서 새만금신공항 사업 철회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갖고 있다. 연합뉴스.

반면 새만금신공항백지화공동행동은 지난 2일 전북농업인회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새만금 신공항은 미군이 관리하는 군산공항 확장사업에 불과하다”며 계획 철회를 촉구했다.

이들은 “미군 요구에 따라 새만금 신공항의 유도로가 추가되고 활주로가 이전되는 등 모습이 변경됐다”며 “군산공항이 미군 활주로를 이용한 탓에 결항과 연착이 잦고 그래서 신공항이 필요하다고 홍보했던 것과는 다른 상황”이라며 관련 문서들을 공개했다.

공동행동은 “2019년 7월 새만금 합동실무단 회의 문건에 당시 미군이 ‘두 공항의 위치가 인접해 있어서 유사시 양공항 연결을 위한 유도로 건설이 필요하다. 하나의 관제탑에서 양공항 관제가 적절하다’고 설명하고 있다”며 “이후 군산공항과 새만금 신공항을 연결하는 유도로가 추가되고 통합 관제로 변경됐다”고 주장했다.

더불어 이들은 “공항 활성화를 기대하는 것인지도 의문이 든다”면서 “새만금 신공항 건설계획에 따르면 비행기가 대기하는 계류장 수는 무안국제공항에 비해 크게 부족하고 군산공항과 비교해도 활주로도 짧고 승객 주차장 면적도 좁다”고 지적했다.

한편 새만금신공항은 군산공항에서 1.3㎞ 떨어진 205만㎡ 부지에 추진되고 있다. 7800억원을 투입해 2028년 개항을 목표로 하고 있다. 2019년 1월 예비타당성조사 면제 사업에 포함된데 이어 올해 말 기본계획이 확정·고시될 예정이다.

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