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소수 품귀 현상이 장기화하는 가운데 정부가 호주에서 요소수 2만ℓ를 들여오기로 했다. 동시에 시장교란 행위를 막기 위해 요소·요소수 매점매석을 금지하는 고시를 8일부터 시행한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 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제2차 대외경제안보전략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산업용 요소·요소수 수급 현황 및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우선 정부는 가용한 외교채널을 총동원해 중국 호주 등 주요 요소·요소수 생산국으로부터 물량을 신속히 도입하기로 했다.
기재부 관계자는 “당장 이번 주 호주에서 요소수 2만ℓ를 수입하기로 했으며 신속한 수송을 위해 군수송기를 활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호주에서 수입되는 요소수의 사용량과 사용처 등에 대해서는 “차량 2000대가 1년가량 사용할 수 있는 양”이라면서도 “관련 기업들의 계약 관계 때문에 구체적인 사용처는 현시점에서 이야기하기 민감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중국 정부와 계약한 요소수에 대해서는 “중국과 이미 계약한 물량만 들어온다면 수개월간은 충분히 쓸 수 있는 양”이라며 “계속해서 중국과 협의해 신속하게 들어올 수 있도록 노력 중”이라고 덧붙였다.
정부는 요소수의 매점매석 행위를 금지하는 고시도 8일부터 시행한다. 시행 즉시 산업통상자원부와 환경부, 공정거래위원회 등이 합동단속을 시작한다. 재고량을 파악하고 판매량을 제한하는 등 수급 안정을 위한 ‘긴급수급조정조치’ 고시도 이번 주 내 시행할 계획이다.
정부는 중장기적 대책도 추진한다. 요소수 없이 질소산화물을 분해하는 대체 촉매제를 개발할 방침이다. 요소수 대체재로 쓰이는 암모니아수를 활용할 수 있는 시설도 확대할 예정이다.
요소수 외에도 특정국의 생산 비중이 높은 품목을 선정해 주기적으로 공급 상황에 대해 점검할 계획이다. 중국 의존도가 높은 마그네슘이나 실리콘 등이 관리 대상에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
나경연 기자 contest@kmib.co.kr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