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먹는 형태의 코로나19 치료제 40만4000명분의 선구매 계약을 이달 안으로 완료하겠다고 7일 밝혔다. 간편히 복용하는 것만으로도 코로나19 감염자가 중증 환자로 악화하는 것을 막아주는 경구용 치료제는 일상회복 과정에서 입원자와 중환자 급증을 막아줄 것으로 기대된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는 이날 “국내외 치료제 개발 상황을 고려해 (경구용 치료제) 구매를 추진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경구용 치료제가 국내에 들어오는 시점은 내년 1분기가 될 것으로 추정된다. 아직 계약이 이뤄지지 않은 13만4000명분은 미국 머크앤컴퍼니(MSD)·화이자, 스위스 로슈와 추가 협의 중이며 11월에 확정할 계획이다. 단계적 일상회복 과정에서 중환자 급증을 막는 등 피해 최소화에 일정 부분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40만4000명분 가운데 지난 9월 MSD와 20만명분을, 10월 화이자와 7만명분 구매약관을 각각 체결한 바 있다. 경구용 치료제 구매 계약이 이달 안에 완료되면 치료제 도입 시점은 정부 희망대로 내년 1∼2월이 될 가능성이 크다.
MSD의 ‘몰누피라비르’는 증상 발현 닷새 내에 투여 시 입원·사망 확률이 약 50% 줄어든다는 임상 결과가 나왔다. 화이자의 ‘팍스로비드’는 증상 발현 사흘 내 투여하면 입원·사망 확률이 89% 줄어들고, 닷새 안에 복용 시 확률이 85%까지 떨어진다는 결과가 발표됐다.
영국은 지난 4일 세계 최초로 몰누피라비르의 사용을 승인하기도 했다. 미국도 이달 말 몰누피라비르의 사용 승인을 검토하기 위한 공개회의를 연다. 화이자도 조만간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사용 승인을 신청할 예정이다.
송태화 기자 alv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