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장은 코로나 감염 안전지대입니다” [사연뉴스]

입력 2021-11-07 17:47 수정 2021-11-07 17:50
사진 연합뉴스

헬스장이 감염 고위험 다중이용시설로 분류된 데 대해 억울함을 호소하는 사연이 온라인에 올라와 많은 누리꾼의 공감을 얻었습니다.

회원 86만명을 보유한 국내 최대 자영업자 커뮤니티 ‘아프니까 사장이다’에는 7일 헬스장이 방역 안전지대에 속한다는 취지의 글이 올라와 화제를 모았습니다. 헬스장 관장이라 소개한 작성자는 헬스장이 방역 지침 최전선에서 구박받는 업종이 됐다고 한숨을 내쉬었습니다.

그는 헬스장이 보통의 다중이용시설과 비교해 오히려 코로나19로부터 안전한 축에 속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작성자는 “어제저녁 주말임에도 밤 10시 이후 회원들이 거의 없어서 밖에도 없나 하고 나와봤다”면서 “지나치는 버스는 승객들로 꽉 차 있었다. 희뿌연 성에가 낀 채 내달리는 버스 안에서 제각각 이야기를 나누고 있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지하철역에는 수많은 사람이 우르르 몰려나오고 있었다. 번화한 거리에서 본 음식점이나 술집은 어느 하나 손님들이 마스크를 착용한 채 음식을 먹고 술 마시는 장면을 전혀 볼 수 없었다”고 언급했습니다.

작성자는 자조 섞인 어조로 “술집 안에는 옆 테이블과 따닥따닥 붙어서 오래간만에 맞이한 ‘불금’을 즐기려는 듯 행복하게 떠들고 먹고 마시는 즐기는 모습뿐이었다. 헬스장에선 상상조차 할 수 없는 장면”이라고 적었습니다.

그는 헬스장이 방역에 취약하다는 사회적 편견이 견디기 어렵다고 했습니다. “어느 헬스장도 마스크 벗고 운동하는 곳이 없다. 집단 확진자가 나온 곳은 사우나 시설에 헬스장이 부수적으로 있는 곳이거나, 마스크 착용을 하지 않고 집단 운동을 하던 아주 일부의 크로스핏장”이라면서 “사우나헬스장과 일반적인 헬스장은 같은 실내체육시설이어도 같은 업종으로 보기엔 차이가 크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어 “조용히 한두 시간 운동하고 가는 헬스장이 마스크를 벗은 채 실내에 모여 즐길 수 있는 곳보다 고위험군이라고 판단한 정부의 생각과 편견에 거부반응이 생길 수밖에 없다”고 비판했습니다.

또한 정부의 행정조치가 과도하다고도 지적했습니다. 그는 “미접종자를 받은 사실이 적발되면 회원은 10만원, 업주는 1차 150만원에 영업정지 10일”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2차 적발 시 업주에게 적용되는 벌금만 300만원이고 영업정지는 20일이다. 3차 때는 벌금 300만원에 영업정지 3개월로 사실상 폐업조치와 다를 바 없다”고 호소했습니다.

작성자는 “미접종자가 약 20% 수준이다. 다른 업종에 없는, 매출과 기대수익의 20%를 포기하라 하면 그러겠다고 하는 분은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방역패스’ ‘백신패스’로도 불리는 접종증명·음성확인제로 인해 수입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겁니다.

이 커뮤니티에서는 해당 작성자와 비슷한 취지로 주장한 피트니스 업계 종사자들의 글들을 수백 건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는 “방역패스는 보다 안전한 일상회복으로의 전환을 위해서 단기적으로 불가피한 조치”라는 뜻을 분명히 밝혔었죠. 헬스장이 코로나19 감염 취약시설이 아니라는 한 업주의 항변,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사연뉴스]는 국민일보 기자들이 온·오프라인에서 접하는 다양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독자 여러분과 공유하는 코너입니다. 살아 있는 이야기는 한 자리에 머물지 않습니다. 더 풍성하게 살이 붙고 전혀 다른 이야기로 반전하기도 합니다. 그런 사연의 흐름도 추적해 [사연뉴스 그후]에서 알려드리겠습니다. [사연뉴스]는 여러분의 사연을 기다립니다.


송태화 기자 alvin@kmib.co.kr

[사연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