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 “유동규-정진상 통화 보고 못 받아”… 검경 핫라인 문제없나

입력 2021-11-05 14:52 수정 2021-11-05 14:53

검찰이 유동규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본부장과 정진상 더불어민주당 선대위 비서실 부실장의 통화 관련 사항을 아직 경찰로부터 보고받지 못했다고 밝혔다. 경찰이 유 전 본부장 휴대전화에 대한 포렌식 조사를 진행하고 있고, 분석 결과가 아직 나오지 않았다는 것이다.

검찰은 5일 “압수수색 당시 유 전 본부장이 소지한 휴대폰은 경찰에서 포렌식 중에 있고, 검찰에 그 분석 결과가 통보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어 “언론 보도 이전에 유 전 본부장과 정 부실장 간 어떤 형태의 통화 사실도 확인하지 못한 상황이었다”고 강조했다. 분석 결과가 통보되지 않아 유 전 본부장과 정 부실장의 통화 내역 등 사실관계를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유 전 본부장과 정 부실장의 통화 사실은 서울중앙지검 전담수사팀이 대장동 개발사업 특혜 의혹의 ‘윗선’으로 나아가는 시점에서 알려지며 이목을 끌었다. 정 부실장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의 ‘복심’으로 꼽힌다. 유 전 본부장이 지난 9월 29일 압수수색을 당하기 직전 정 부실장과 어떤 대화를 나눴는지 등이 규명 대상으로 평가된다. 정 부실장은 지난 4일 입장문을 내고 당시 통화에서 “잘못을 감추지 말고 수사를 충실히 받으라고 했다”고 말했다.

이 후보 측은 두 사람의 통화 사실에 대해 확대 해석을 경계하며 엄호에 나섰다. 전재수 민주당 의원은 라디오에서 “이 후보와 관련된 사항이고 (정 부실장은) 참모니까 확인을 안 하는 것이 오히려 이상한 것 아니냐”고 말했다. 진성준 민주당 의원도 “공교롭게 압수수색 전에 통화를 한 것은 우연의 일치라고 보여진다”고 했다.

법조계 안팎에선 대장동 의혹을 수사하는 검찰과 경찰의 ‘수사 핫라인’이 제대로 작동하고 있는 것이냐는 목소리가 나왔다. 김오수 검찰총장은 지난달 12일 대장동 의혹 수사와 관련해 검경간 유기적 수사협조 체계 구축을 지시했다. 하지만 대장동 의혹 핵심 피의자인 유 전 본부장의 휴대전화에 대한 분석 결과 등을 검찰이 인지하지 못한 상황에서 경찰과 주요 수사 사항을 공유하고 있느냐는 의구심이 제기된다.

법조계 관계자는 “검찰이 두 사람 통화 사실을 몰랐다는 것은 경찰이 정 부실장의 휴대전화 압수수색 영장을 검찰에 신청하지 않았다는 말이기도 하다”며 “대장동 윗선 수사가 본격적으로 나아가려면 검경 수사 상황이 더욱 긴밀히 공유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대장동 의혹을 수사 중인 서울중앙지검에서 이날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하며 주요 피의자 조사가 연기됐다. 검찰에 따르면 청사 6층에서 근무하는 직원 1명이 오전에 코로나 확진 판정을 받았다. 검찰은 해당 직원의 동선과 접촉자 등을 파악하고 해당 층에서 예정돼 있던 조사 일정 등을 연기했다. 화천대유 대주주 김씨와 남욱 변호사가 각각 이날 오전과 오후 조사를 받을 예정이었지만 보류된 상태다.

양민철 기자 liste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