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플릭스 드라마 ‘오징어 게임’에 나오는 놀이가 일제강점기 때 일본이 전파한 것이라는 일본 언론의 주장에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가 5일 “ 당시 일본이 벌인 역사적 만행에 대해서는 늘 침묵하고 있으니 참으로 비겁하다”며 “열등감을 표출한 것으로밖에 안 보인다”고 질타했다.
서 교수는 이날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최근 일본 유력 경제매체인 니혼게이자이의 스즈키 쇼타로 서울지국장은 ‘오징어 게임이 보여주는 일본의 잔영’이라는 칼럼에서 드라마에 나오는 놀이의 원조는 일본이라는 주장을 펼쳤다”고 전했다.
쇼타로 지국장은 지난달 29일 “게임 중 ‘무궁화꽃이 피었습니다’는 일본의 ‘달마상이 넘어졌다’에서 유래한 것이고, 딱지치기, 구슬치기, 달고나 뽑기 등도 모두 일본인에게 익숙한 놀이”라며 연기향토박물관의 임영수 관장을 인용했다. 임 관장은 “한국 어린이들 놀이는 대부분 일제 식민지 시대에 일본에서 들어왔다. 일제 강점기 때 아이들이 일본어로 ‘달마상이 넘어졌다’는 놀이를 하는 것을 본 독립운동가가 같은 선율로 바꿔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로 변형돼 퍼진 것”이라고 했다.
서 교수는 “좋다. 이러한 주장들이 다 맞는다고 하자. 그렇다면 이러한 놀이문화를 기발한 드라마 콘텐츠로 제작해 전 세계적인 열풍을 일으킨 건 바로 한국인”이라며 “세계인들은 ‘무궁화꽃’을 기억하지 ‘달마상’을 기억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는 ‘오징어 게임’이 잘 된 것이 부러워 한국에 대한 ‘열등감’을 표출한 것으로밖에 안 보인다”며 “‘일제 강점기 때 놀이문화를 전파했다’는 주장은 하면서 당시 일본이 벌인 역사적 만행에 대해서는 늘 침묵하고 있으니 참으로 비겁한 일이 아닐 수 없다”고 비판했다.
서 교수는 과거 자신이 미국 뉴욕 타임스퀘어 광장에 비빔밥 전면광고를 하자 산케이신문 구로다 가쓰히로 서울지국장이 칼럼에서 비빔밥을 ‘양두구육’(羊頭狗肉)이라고 깎아내린 사실을 언급하며 같은 맥락이라고 설명했다. 양두구육은 ‘양의 머리를 걸어 놓고 개고기를 판다’는 뜻으로, 겉으로는 훌륭하다고 내세우나 속은 변변찮다는 뜻이다.
그는 “일본 언론은 예나 지금이나 한국의 문화 콘텐츠가 전 세계에 퍼져나가는 게 두려운가 보다”며 “이럴수록 우리는 더 겸손하게 세계인들과 소통하며, 더 나은 콘텐츠 개발에 주력해 ‘문화강국 대한민국’을 만드는 데 온 힘을 기울여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용현 기자 fac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