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가 자산 매입 축소(테이퍼링)를 공식화했지만, 뉴욕 증권시장의 견고한 상승세는 꺾이지 않았다. “테이퍼링 시행이 금리 인상의 직접적인 신호는 아니다”라는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의 온건한 발언이 나오면서다. 뉴욕증시 주요 3대 지수는 다시 한 번 최고가를 경신했다.
1. 테이퍼링 확정
연준은 4일(한국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마친 뒤 성명을 내고 “지난해 12월 이후 연준의 목표를 향한 경제적 진전을 고려해 국채 100억 달러, 주택저당증권(MBS) 50억 달러씩을 매월 줄여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국채와 MBS를 합산한 월간 테이퍼링 규모는 150억 달러다. 약 17조7000억원에 해당하는 금액이다.하지만 연준은 테이퍼링 규모를 오는 12월까지 두 달로 한정했다. 연준은 “이런 속도의 자산 매입 축소가 적절하다고 판단하지만, 경제 상황 변화에 따라 규모를 조정할 수 있다”고 조건을 달았다. 내년부터 적용할 테이퍼링 규모를 축소할 가능성도 열어둔 것이다.
연준은 지난해 3월 코로나19 대유행에 따른 경기 침체를 극복하기 위해 국채 800억 달러, MBS 400억 달러씩 모두 1200억 달러의 자산을 월마다 매입하는 양적완화를 시행해 왔다. 그 기조를 20개월 만에 테이퍼링 시행 결정으로 선회했다.
테이퍼링은 증시로 들어갈 자금을 억제하는 효과를 낼 수 있다. 하지만 ‘11월 테이퍼링 시행’은 이미 시장에서 기정사실화돼 악재로 작용하지 않았다. FOMC 구성원들은 그동안 테이퍼링을 수차례 암시하며 파장을 최소화했다. ‘매파’로 평가되는 파월 의장의 온건한 발언도 시장의 긴장감을 이완했다.
파월 의장은 이날 FOMC 정례회의를 마친 뒤 기자회견에서 “테이퍼링을 시행하는 결정이 금리인상을 고려한다는 직접적 신호가 아니다”라며 “금리 인상을 위해서는 더 엄격한 조건이 만족돼야 한다”고 말했다. 연준은 이날 FOMC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를 현행 0.00~0.25%로 동결했다.
FOMC 성명 발표를 앞두고 잠시 뒷걸음질쳤던 뉴욕증시 주요 3대 지수는 다시 고공행진을 이어갔다.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는 전날보다 104.95포인트(0.29%) 상승한 3만6157.58,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29.92포인트(0.65%) 오른 4660.57에 각각 마감됐다. 나스닥지수는 161.98포인트(1.04%) 뛴 1만5811.58에 도달했다.
테이퍼링에 대한 불확실성과 조기 금리 인상 우려가 해소됐고, 오는 26일 블랙프라이데이(추수감사절 이튿날)부터 다음 달 25일 크리스마스까지 이어지는 쇼핑 대목에 대한 기대감이 맞물려 주요 3대 지수는 4거래일 연속 사상 최고치를 갈아치웠다.
2. 크로거 [KR]
미국 슈퍼마켓·백화점 체인 크로거는 2개월간 이어진 약세를 끊었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에서 전 거래일 종가보다 5.53%(2.25달러) 오른 42.95달러에 마감됐다. 지난 9월 2일 47.99달러를 기록한 뒤 하락해 38~39달러 선의 지지부진한 흐름을 끊은 반등을 이뤄냈다.생활용품업체 베드배스앤드비욘드와 이커머스 제휴가 크로거의 호재로 작용했다. 베드배스앤드비욘드(BBBY) 역시 나스닥에서 15.51%(6.39달러) 급등한 19.3달러에 마감됐다. 크로거보다 상승 폭이 컸지만, 전 거래일 애프터마켓에서 40.39%나 뛴 32달러에 도달한 뒤 이날 프리마켓부터 급속하게 하락하는 변동성을 나타냈다.
3. 액티비전 블리자드 [ATVI]
스타크래프트, 디아블로, 워크래프트, 오버워치로 한국에서 인지도가 높은 게임개발사 액티비전 블리자드는 나스닥에서 전 거래일 종가보다 14.06%(10.92달러) 급락한 66.75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나스닥의 기술주 상당수가 테이퍼링의 불확실성을 걷어내고 반등에 성공했지만, 블리자드를 포함한 게임개발사 일부는 하락세를 벗어나지 못했다.블리자드의 경우 심각한 악재에 둘러싸였다. 블리자드는 지난 3일 디아블로4, 오버워치2 출시를 연기하면서 “게임의 완성도를 위해 개발자들에게 더 많은 시간을 주기로 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블리자드 공동 대표인 젠 오닐이 같은 날 퇴사해 신작 게임 출시를 연기한 배경을 놓고 의구심만 커졌다.
하루 3분이면 충분한 월스트리트 산책. [3분 미국주식]은 서학 개미의 시선으로 뉴욕 증권시장을 관찰합니다. 차트와 캔들이 알려주지 않는 상승과 하락의 원인을 추적하고, 하룻밤 사이에 주목을 받은 종목들을 소개합니다.
김철오 기자 kcopd@kmib.co.kr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