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인권운동연대 ‘지음’은 지난 3일 학생의 날을 맞아 ‘학교 내 나이 차별적 언어문화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해당 실태조사는 지난 10월 15일부터 29일까지 전국 중고등학생 697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조사에 따르면 수업 중 교직원으로부터 하대를 받은 적이 있다는 응답은 70.3%에 달했다. 교직원으로부터 하대를 받을 때 불린 호칭은 ‘야’가 71.6%로 가장 많았다. 이어 ‘임마’(52.0%), ‘새끼’(43.3%), ‘자식’(39.2%), ‘녀석’(33.9%) 등의 순이었다.
일부 교사는 입술이 부은 학생을 향해 “안젤리나 졸리 같이 섹시하다”, “술집 여자 같다” 등 외모를 평가하거나 성적으로 대상화하는 발언을 했다. 또 “남자는 울면 안 돼”, “동성애는 정신병이야” 등 차별과 편견이 담긴 발언과 “내가 네 세특(학교생활기록부 세부능력 및 특기 사항) 써줘”, “한 번만 더 말대꾸하면 죽여버린다” 등 위협성 발언을 하기도 했다.
개인적인 대화에서 하대를 받은 경험이 있냐는 질문에는 65.3%가 그렇다고 답했지만 공개수업이나 공식 행사 자리에서 하대를 받은 경험은 33.8%로 절반가량 줄었다. 지음은 학생을 하대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다는 걸 교직원 상당수도 인식하고 있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지음은 “교직원이 학생을 아랫사람으로 대하며 인격적으로 존중하지 않는 문화가 여전히 남아있다”면서 이번 실태조사 결과를 각 시·도교육청에 보내 차별적 문화의 개선 방안을 촉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나경연 기자 contest@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