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의료원 기재부 평가 통과…2026년 준공 예정

입력 2021-11-03 17:07
대전의료원 조감도. 대전시 제공

대전의 25년 숙원 사업이었던 대전의료원이 오는 2026년 준공될 전망이다.

3일 대전시에 따르면 예비타당성조사 면제사업으로 선정된 대전의료원 건립사업이 이날 기획재정부의 ‘재정사업평가 위원회’를 통과했다.

기재부는 연면적 3만3148㎡에 부지면적 3만9163㎡, 총 병상 수는 319병상으로 사업계획과 동일하게 의료원 규모를 산정했다. 선량지구도시개발사업이 진행 중인 동구 용운동 11번지 일대에 들어설 예정이다.

전체 사업비는 당초 계획된 1315억원보다 444억원 늘어난 1759억원으로 확정했다.

총 사업비에서 공사·부대비, 장비비의 국비 비중은 기존 431억원보다 156억원 증액된 587억원이다. 시비는 841억원에서 27억원 감소한 814억원으로 각각 산정됐다.

전액 시비인 용지매입비는 당초 책정된 43억원에서 315억원 증액된 358억 원으로 확정됐다.

이는 개별공시지가를 기준으로 산정했던 당초 사업계획과 달리,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선량지구 개발사업 기반조성비를 포함한 분양단가를 기준으로 반영했기 때문이다.

시는 내년 상반기 중 의료·운영체계 용역을, 하반기에는 기획설계를 발주할 예정이다. 2024년 착공에 들어가 2026년 준공을 목표로 사업을 추진한다.

대전의료원은 앞으로 코로나19 등 국가적 재난에 대응할 수 있는 공공의료안전망 기능과 정신·장애인 등에 대한 의료서비스 강화, 시민 건강권 확보, 적정 진료를 통한 진료비 부담 완화 등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KDI 분석 결과 대전의료원 설립에 따른 전체 생산유발효과는 1752억원, 고용유발효과는 1287명, 취업유발효과는 1430명에 달할 것으로 추산된다.

이동한 대전시 보건복지국장은 “대전은 코로나19 등의 감염병 사태를 겪으면서 격리병상과 의료인력 확보 등의 문제점이 반복되고 있다. 대전의료원 설립만이 전문인력 확보와 병상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라며 “앞으로 대전의료원을 공공병원의 롤모델로 만들어 대전 공공의료의 미래 100년을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