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신패스는 군사독재” 거리로 나온 요가·헬스 업주들

입력 2021-11-03 16:45 수정 2021-11-03 18:22
실내체육시설을 운영하는 업주들이 3일 여의도 더불어민주당사 앞에서 '백신패스' 철회를 촉구하며 '군사독재'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연합

요가, 헬스장 등을 운영하는 업주들이 정부의 방역 패스(백신 패스) 정책에 반발해 거리로 나섰다. 이들은 정부 정책이 업주들을 오히려 벼랑 끝으로 내몰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대한실내체육시설총연합회, 필라테스피트니스사업자연맹, 요가비상대책위원회 등은 이날 여의도 더불어민주당 당사 앞에서 집회를 열었다. 이들은 “백신 패스 집어치워라” “정치방역 철회하라” 등의 구호를 외쳤다.

실내체육시설을 운영하는 업주들이 3일 '백신패스' 즉각 철회를 주장하는 집회에 참석하고 있다. 연합

이들은 정부 방역 패스 정책이 오히려 과거 4단계 거리두기보다 더 강력한 규제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방역 패스는 단계적 일상회복 이행계획이 시행된 지난 1일부터 실내체육시설, 노래연습장, 목욕장업, 유흥시설 등 13만개 다중이용시설에 적용됐다. 이들 시설을 이용하려면 접종완료증명서나 PCR 음성확인서를 보여줘야 한다. 헬스장 등 실내체육시설은 이용권 환불‧연장 등을 감안해 오는 14일까지 벌칙 없이 영업이 가능하다.

3일 실내체육시설을 운영하는 업주들이 '백신패스' 즉각 철회를 주장하며 집회를 하고 있다. 연합

실내체육시설 업주들은 방역 패스 정책으로 인해 멀쩡히 시설을 이용하던 회원들에게 환불을 해야 하는 사태가 발생했다고 주장한다. 박주형 대한실내체육시설연합회 대변인은 “멀쩡히 다니던 미접종자 고객들 15%를 환불해줘야 한다. 환불액이 수천만원”이라며 “실내체육시설을 고위험시설, 혐오시설로 낙인찍는 행동을 멈춰달라”고 말했다.

강기영 대한요가회 비대위원장은 “임신을 하거나 지병이 있어 백신을 못 맞고 운동으로만 체력 관리를 할 수밖에 없는 경우가 현장에 많다”고 강조했다. 일부 업주들은 어린이, 유아 등을 상대로 수업을 진행해왔는데 방역 패스 때문에 어렵게 됐다고도 호소했다.

이들은 특히 실내체육관은 식당보다 마스크 착용률이 높은데도 특별히 강한 규제를 규제하는 것을 이해할 수 없다고 했다. 백신 부작용을 호소하는 회원들에게 백신 접종을 강제할 수는 없다는 것이다. 이날 집회에서는 군복을 입은 사람들이 “백신 증명제를 선포한다”고 외치며 실내체육인들을 향해 총을 쏘는 퍼포먼스가 벌어지기도 했다. 한 집회 참석자는 “백신 미접종자를 가택 연금 수준으로 제한시키니까 독재라는 말이 나온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정부는 실내체육시설에 대한 방역 패스 도입은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손영래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지난 1일 정례 브리핑에서 “(실내체육시설은) 침방울 배출이 좀 많은 활동을 주로 밀폐된 공간 안에서 장시간 하다 보니 구조적으로 감염의 위험성이 좀 큰 시설”이라고 말했다.

3일 여의도 더불어민주당사 앞에서 실내체육시설을 운영하는 업주들이 '백신패스' 즉각 철회를 주장하며 집회를 하고 있다. 연합

나성원 기자 na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