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노태우 전 대통령 별세에 대한 해외 각국의 조전(弔電)을 유족에게 늑장 전달했다는 논란에 대해 “지난달 29일 밤에야 조전이 도착하기 시작했다”고 해명했다. 해외 각국의 조전을 모아 현황을 집계한 후 유족에게 신중히 전달하려는 취지였다는 것이다.
최영삼 외교부 대변인은 2일 정례브리핑에서 “각국 지도자들의 조전은 지난달 29일 금요일 저녁 또는 영결식 이후 주말까지 접수됐다”고 말했다. 최 대변인은 “지난 1일 유족 측에 각국의 조전 접수현황 및 내용을 정중히 알려드렸다”고 설명했다. 노 전 대통령의 영결식은 지난달 30일 열렸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의 조전은 지난달 29일 밤에 도착한 것으로 전해졌다. 일부 조전은 주말 및 1일 오전에도 접수됐다고 한다. 조전의 현황과 구체적인 내용은 1일 유족에게 구두로 전달됐고 이메일을 통해 사본도 전달된 것으로 알려졌다.
최 대변인은 조전 전달에 시차가 생긴 것에 대해 여러 국가의 조전을 신중히 집계한 후 위로의 뜻을 모아 유족 측에 전달하려고 했다고 밝혔다. 조전은 유족에게 보낸 것이 아닌 국가 대 국가간 외교 문서이므로 받은 즉시 유족에게 공유해야 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외교부는 유족에게 늦게 전달된 것이 외교적 결례는 더더욱 아니라는 취지로 설명했다. 외교부는 청와대에도 조전을 건건이 아닌 모아서 보고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외교부는 1일 중국, 일본, 베트남 등이 노 전 대통령에 대해 조전을 보내왔다고 밝혔다. 일각에서는 조전 전달 사실을 정부가 뒤늦게 공개한 것 아니냐는 논란이 일기도 했다. 외교부는 지난 2015년 김영삼 전 대통령 국가장 당시에는 조전 현황을 공표하지 않았고 언론 등의 요청에 따라 개별 국가의 조전 전달 여부를 확인했었다.
나성원 기자 na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