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디젤(경유) 차량의 필수품인 ‘요소수’ 수출을 중단한 것과 관련해 국내에서 요소수 품귀현상이 벌어지는 데 대해 정부가 중국 측에 수출 재개 협조를 요청하기로 했다. 산업용 요소를 차량용으로 전환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도 검토한다.
정부는 2일 국무조정실 경제조정실장 주재로 관계부처 회의를 하고 이런 내용을 포함해 국내 요소 대응 방안을 점검했다고 국무조정실이 밝혔다.
석탄에서 암모니아를 추출해 생산하는 요소는 화물트럭과 같은 디젤 엔진 차량에 필수적으로는 들어가는 ‘요소수’의 주원료다. 중국이 호주와의 갈등으로 석탄 가격이 급등하자 ‘수출 전 검사 의무화’로 사실상 수출 제한에 나서면서 국내 물량의 대부분을 중국산에 의존하던 우리나라도 가격 급등 등 타격을 입었다. 일각에선 이런 상황이 오래 지속되면 연말에는 화물차 가동이 멈춰 자칫 ‘물류대란’이 일어날 것이란 우려도 제기된다.
정부는 요소 수입을 조속히 원활하게 하기 위해 긴급한 물량에 대해선 우선적으로 수입을 재개할 수 있도록 다양한 외교 채널을 통해 중국 정부에 협조를 요청했다.
또 중국의 요소 수출금지 조치가 장기화할 경우를 대비해 러시아 등 다양한 국가를 대상으로 요소 수입선을 다변화하는 방안도 업계와 검토 중이다.
정부는 이어 국내에서 벌어지고 있는 요소수 매점매석 등 불공거래행위를 방지하는 한편 요소수 공급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국내 주요 제조업체와 3일 만나 구체적인 방안을 협의할 예정이다.
이밖에 단기적으로 긴급한 차량용 요소수 수요에 대응해 국민 건강 및 차량 운행 안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선에서 산업용 요소를 차량용으로 전환해 사용할 수 있는 방안도 고려되고 있다. 수입 물량 반입 시 신속통관 지원방안도 검토되고 있다고 국무조정실은 전했다.
김영선 기자 ys8584@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