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역 당국이 이른바 ‘여름 감기’로 불리는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최근 6세 이하 영유아 사이에서 지속적으로 번지고 있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파라인플루엔자는 특별한 예방접종 및 치료약이 없어 ‘개인 손씻기’ 등 위생 수칙을 잘 지켜야 한다.
이상원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 역학조사분석단장은 2일 코로나19 정례 브리핑에서 “지난 8월말부터 영남 지역을 중심으로 영유아에서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증 환자가 증가하기 시작했다”며 이 같이 밝혔다. 이 단장은 “파라인플루엔자 감염증은 주로 4~8월 사이 유행하는데 현재 유행은 예외적인 상황”이라며 “최근 전국적으로 환자발생이 보고되고 있다”고 말했다.
방대본에 따르면 지난 9월 12~18일 56명이었던 파라인플루엔자 감염환자는 10월 17~23일 515명까지 늘었다. 감염자 10명 중 9명이 6세 이하 영유아다. 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로 보육시설 및 학교의 등원‧등교 확대로 호흡기 감염병이 다시 증가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이 단장은 파라인플루엔자와 인플루엔자(독감)은 완전히 다른 바이러스지만 똑같이 외피를 가졌다는 특징이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올해 파라인플루엔자가 유행하고 있다는 것은 앞으로 인플루엔자도 유행할 가능성이 있다는 전조증상으로 보고 주의하고 있다”며 “인플루엔자 예방접종도 꼭 받아 달라”고 말했다.
파라인플루엔자는 공기를 통해 사람 간에 전파되는 호흡기 질환이다. 통상 면역 기능이 정상인 환자는 휴식을 취하면 증상이 호전돼 특별한 치료약이 필요 없다. 하지만 면역 기능이 약한 영유아가 감염되면 후두염, 폐렴 등으로 진행될 수도 있어서 주의가 필요하다.
파라인플루엔자는 발열, 기침 등 코로나19와 비슷한 증상을 동반한다. 다만 코로나19는 설사, 보통, 후각 소실 등의 증상을 동반하는 반면 파라인플루엔자는 쉰 목소리가 뚜렷하게 나타나는 게 특징이다.
이 단장은 파라인플루엔자의 유행 이유에 대해 상대적으로 면역을 가진 사람들의 비율이 지난해에 비해 떨어져 있을 수 있는 점, 지난해보다 방역수칙 준수가 느슨해진 점 등을 꼽았다.
이 단장은 “파라인플루엔자는 예방접종이나 치료약이 있는 것이 아니다”라며 개인 손씻기, 기침예절 등 개인위생 수칙 준수 등을 당부했다.
나성원 기자 na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