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기념재단은 유엔경제사회이사회(UNECOSOC) 비정부기구위원회로부터 오는 4일부터 특별협의지위를 승인받는다고 2일 밝혔다.
특별협의지위 획득은 민주주의와 인권 관련 논쟁거리에 대해 유엔에서 발언권을 획득하고 5·18의 이름으로 유엔과 연계하여 적극적으로 활약할 수 있게 됐다는 의미다.
유엔이 주최하는 회의에 참석해 제출된 안건에 대해 서면 또는 구두로 발표할 수 있게 된 것이다.
경제사회이사회(ECOSOC)의 상임위원회인 비정부기구위원회는 지리적 대표성을 기반으로 한 19개 회원국이 소속돼 있다. 심사를 통해 3가지 유형의 협의 지위를 부여하며 유형에 따라 NGO 단체의 권한과 의무가 달라진다.
5·18기념재단은 유엔 비정부기구위원회 특별협의지위 획득을 2019년부터 준비해왔다. 2020년 신청서를 제출한 데 이어 올해 5월 말 뉴욕 정기세션에서 자격을 인정받은 뒤 9월 심사를 거쳐 2년여 만에 특별협의지위를 얻었다.
5·18기념재단이 유엔 비정부기구위원회 특별협의지위를 획득함에 따라 유엔 등 국제기구 참여를 통해 5·18정신의 가치와 의미를 세계화하고 민주주의와 인권증진을 위해 국제사회에서 더욱 두드러진 활약을 할 수 있게 됐다.
5·18기념재단이 5·18의 세계화를 이슈로 세계 각지의 인권과 민주주의를 위한 연대 활동을 펼쳐왔다.
특별협의지위는 광주 인권상 시상을 통해 20년 넘게 세계 현장의 활동가들을 지지해왔으며, 광주민주포럼을 통해 국내외 활동가들과 민주·인권 이슈를 공론화하고 적극적으로 대응해온 결과의 산물이다.
아시아 인권 헌장 제정을 통해 아시아 인권의 보편적 기준과 국제적 인권 규범을 제시하고 홍콩, 태국, 미얀마 등 민주주의가 위협받는 상황에 즉각 대응하면서 실제적이고 직접 연대 활동을 펼친 성과로 평가된다.
5·18기념재단은 향후 5월 18일을 유엔지정 군사·권위주의 방지의 날로 제정하는 운동을 펼칠 계획이다.
또 세계 인권 이슈에 발 빠르게 연대하는 활동과 함께 국제적으로 합의된 개발 목표, 유엔 국제 평화·개발 의제를 실현하기 위한 국제적인 활동도 이어갈 방침이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