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만명이 몰리며 역대 최대 응시자 수를 경신한 올해 공인중개사 시험에서 오타가 나와 논란이 일고 있다. 사전 고지, 미고지 등 고사장별로 대처도 달랐던 탓에 응시자들은 피해 구제를 요구하고 있다.
청원인 A씨는 지난 1일 청와대 홈페이지 국민청원 게시판에 ‘2021년 제32회 공인중개사 2차 시험지 오타로 인한 피해자를 구제해 주세요’라는 제목의 청원을 올렸다. A씨는 2차 시험지 40번 문항에 오타가 있었다며 이로 인한 피해를 구제해 달라고 호소했다.
해당 문항은 부동산 거래신고 등에 대한 법령상 토지거래허가구역에 관해 옳은 것을 묻는 문항으로 정답은 5개 보기 중 3번 ‘허가구역 지정의 공고에는 허가구역에 대한 축적 5만분의 1 또는 2만5000분의 1의 지형도가 포함되어야 한다’였다.
청원인은 3번 보기 내용 중 ‘축척’이 ‘축적’으로 잘못 표기돼 해당 문항은 정답이 없는 문제가 됐다고 주장했다. 그는 “3번이 정답이 되기 위해서는 ‘축적’이 아니라 ‘축척’으로 표기돼야 맞는 표현”이라며 “지문에 적힌 축적으로 명시될 경우 정답이 될 수가 없고 40번 문항의 정답은 찾을 수 없다”고 설명했다.
청원인은 이어 “축적의 사전적 의미는 ‘지식, 경험, 자금 따위를 모아서 쌓음. 또는 모아서 쌓은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대한 대처도 고사장별로 제각각이었던 점 등 형평성 논란도 제기됐다. 이 청원인은 “일부 시험장에선 칠판에 오타에 대해 고지를 했다고는 하나, 고지받지 못한 시험장도 많으며 심지어 2차 1교시 시험 10분 전 고지를 하거나 시험이 끝나고 2교시에 고시를 한 시험장도 많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물론 오타가 있을 수도 있음을 이해하지만 사후 대처가 미흡했고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며 “오타가 발생할 경우 시험 전 미리 고지하고 정오표를 배부하는 등 정확하게 인지를 시켜야 함에도 처리 미흡으로 오답을 선택하게 됐으니 지금이라도 이를 바로잡아 달라”고 요청했다.
공인중개사 시험 관련 인터넷 커뮤니티에선 응시자들의 불만이 이어지고 있다. 응시자들은 “워낙 함정이 많은 시험이고 마지막 1초 시간도 부족한데, 그냥 넘어가는 건 아닌 것 같다” “모든 수험생은 동일한 조건에서 시험 볼 권리가 있다. 고지가 아니라 정오표를 나눠줬어야 했다” 등 반응을 보이고 있다.
지난 31일 한국산업인력공단에 따르면 전날 시행된 제32회 공인중개사 자격시험 1차와 2차 시험 원서접수자 수는 총 39만9917명으로 역대 최다다. 원서를 접수했다가 나중에 취소한 사람까지 합하면 40만명이 넘었다. 1983년 공인중개사 제도가 도입된 이후 가장 많은 인원이다.
정우진 기자 uz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