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시중은행 금리가 하루 만에 0.2% 포인트 뛸 정도로 대출금리가 빠르게 상승하고 있다. 기준금리 인상, 물가상승 등으로 시장금리가 영향을 받고 있는 것이다.
한국은행이 이달 말 기준금리를 올릴 경우 대출금리가 6%대에 진입할 수 있다는 전망까지 나온다. 대출을 최대한 끌어 집을 산 ‘영끌족’(영혼까지 끌어모았다는 뜻의 신조어)의 고민도 커지고 있다. 금융권에서는 향후 금리가 가파르게 상승할 경우 고정금리 대출로 갈아타는 것도 고려해볼 만하다는 조언이 나온다.
2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 1일 기준 A은행의 신용대출 금리(1등급·1년)는 3.68∼4.68% 수준이다. 지난달 31일 3.47∼4.47%와 비교하면 불과 하루 만에 0.21% 포인트 상승했다. A은행의 주택담보대출 혼합형(고정형) 금리도 하루 만에 3.88~5.08%에서 상단과 하단이 0.12% 포인트씩 높아졌다. 은행권에서도 “하루에 0.2% 포인트가 오르는 것은 이례적”이라는 반응이 나온다.
시중은행의 상황은 대부분 비슷하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의 1일 기준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신규 코픽스 연동)는 연 3.31∼4.814% 수준이다. 지난 8월 말 2.62∼4.19%와 비교하면 두 달 사이 하단은 0.69% 포인트, 상단은 0.624% 포인트 올라갔다.
주택담보대출 혼합형(고정형) 금리 상승 폭은 더 컸다. 같은 기간 주담대 혼합형 금리는 연 2.92∼4.42%에서 3.97∼5.377%로 상승했다. 불과 두 달 사이 하단과 상단이 1% 포인트 정도 뛴 것이다.
금융권에서는 한은이 이달 말 기준금리를 0.25% 포인트 더 올리면 대출금리가 6%대에 진입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금리가 빠르게 오르고 있는 상황이지만 여전히 신규 대출자들은 변동금리를 찾고 있다. 한은 통계에 따르면 지난 9월 은행권 신규 가계대출의 고정금리 비중은 21.4%에 불과하다. 10명 중 2명만 고정금리를 찾고 있다는 얘기다. 다만 현재 섣불리 고정금리를 선택하는 것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현재 고정금리는 변동금리보다 0.6% 포인트 정도 대출금리가 높다. 금융권 전문가들은 금리 추세를 지켜보다가 상승세가 가파를 경우 고정금리 대출로 갈아타는(대환 대출) 방법도 고려해볼 수 있다고 조언한다.
정부의 대출규제가 강화되면서 집값 매수심리 및 집값 상승률이 둔화되는 것도 ‘영끌족’의 고민을 키우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의 10월 4주차(지난 25일 기준) 전국 주간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수도권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0.30%)보다 상승 폭을 줄인 0.28%를 기록했다. 수도권 아파트 매매가격 변동률은 지난달까지 매주 최대치를 경신했는데 6주 연속 상승 폭이 줄어들고 있다.
나성원 기자 na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