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의 상징 무등산 자락에 흉물처럼 방치된 옛 신양파크호텔 건물·부지가 무등산 생태시민공원으로 활용된다. 시가 무등산 국립공원의 난개발을 막기 위한 공공매입을 공론화한 이후 6개월여 만에 내린 결론이다.
광주시는 “무등산 난개발 방지를 위해 출범한 민·관·정 협의회가 3일 오후 옛 신양파크호텔 현장에서 그동안 추진 경과를 중간보고하고 향후 공유화 사업 일정을 발표할 것”이라고 2일 밝혔다.
허민 전 전남대 부총장(민간)과 이용섭 광주시장(관청), 김용집 광주시의회 의장(정계)이 공동 위원장을 맡은 협의회는 앞서 지난달 중순 옛 신양파크호텔 건물·부지·주차장 등 7필지에 대한 매매계약을 369억 원에 체결한 것으로 파악됐다.
신양파크 소유자와 협의회 양측의 감정평가 결과 애초 도출된 419억 원에서 수차례 협상을 거쳐 50억 원을 깎은 액수다. 양측은 ‘계약동의서’를 작성한 뒤 양보없는 매매협상을 해왔다.
협의회에 참여한 시는 재정여건 등을 고려해 2년에 걸쳐 건물·부지·주차장 부지 대금을 분할 지급하기로 했다.
또 연말까지 시민·환경단체 등의 의견을 더 들은 뒤 늦어도 내년 초에는 최종 활용방안을 확정할 방침이다. 무등산 자락의 호텔 건물·부지를 시민들의 품에 돌려주자는 ‘대원칙’에는 일단 합의한 상태다.
현재까지 무등산 생태전망대를 포함한 다목적 교육·여가 복합공간 등 시민생태공원으로 꾸미는 방안이 유력하게 논의된 것으로 밝혀졌다.
협의회는 향후 민·관이 참여한 법인을 설립해 가칭 무등산 생태 시민공원을 관리하고 무등산 공유화 사업을 확대 추진하는 방안을 광주시에 제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생태공원 사후 관리에 인력과 예산 등이 수반돼야 하는 만큼 광주시의 정책적·재정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시는 올 들어 우여곡절을 거친 끝에 무등산 난개발을 저지하기 위해 낡은 호텔을 사들이는 공공 매입을 결정했다. 이후 호텔 건물·부지에 대해 공공성·수익성·투명성의 조화라는 3대 원칙을 내걸고 구체적 개발방안을 민·관·정 협의체 중심으로 신중히 모색해왔다.
지난 5월 금남로 옛 전일빌딩에서 시와 시의회, 무등산보호단체 협의회 등이 참여한 시민토론회를 개최한 것을 시작으로 6개월여 동안 활발한 의견수렴을 진행해왔다.
결국, 협의회는 생태전망대를 포함한 생태공원이 가장 적합하다는 내부 결론을 내렸다. 하지만 자연환경 원형보존이 필요하다는 환경단체 등의 여론을 연말까지 추가 수렴해 최종 방안을 확정한다는 계획이다.
무등산 장원봉 인근 신양파크호텔은 1981년 3성급 호텔로 문을 열었다가 2019년 영업부진 등으로 폐업했다. 호텔 측이 이곳에 호화 연립주택 개발을 추진하자 환경단체 등은 무등산 자락의 자연훼손과 난개발 확산을 불러온다며 반대 투쟁을 예고했다.
시는 환경단체 등의 반대여론이 수그러들지 않자 시의회, 무등산권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공동대표 등이 참여한 민관정 협의체를 구성해 무등산 기슭에 들어선 호텔 건물·부지·주차장의 공유화 작업을 벌여왔다.
허민 공동위원장은 “무등산 생태자원은 미래 세대에게 온전히 물려줘야 할 공유화 대상”이라며 “호텔 건물은 전망대 등으로 재활용하고 공원·전시관 등이 포함된 복합공간으로 조성하자는 의견이 많다”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