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소비자물가가 3.2% 올라 9년 9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지난해 10월 통신비 지원 정책에 따른 기저효과로 풀이된다.
통계청은 10월 소비자물가지수가 108.97(2015년=100)로 지난해보다 3.2% 상승했다고 2일 밝혔다. 상승 폭은 2012년 1월 3.3% 이후 가장 크다.
어운선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농·축·수산물 가격은 안정세를 보였지만 석유류, 가공식품 등 공업제품과 개인 서비스 오름세가 지속한 가운데 지난해 10월 통신비 지원에 따른 기저효과로 공공서비스 가격 오름세가 많이 확대됐다”고 설명했다.
10월 물가 상승률을 품목별로 보면 공업제품이 전년 동월 대비 4.3% 상승해 2012년 2월(4.7%) 이후 가장 많이 올랐다. 특히 석유류 물가는 27.3% 올라 2008년 8월(27.8%) 이후 가장 높은 상승 폭을 보였다.
농·축·수산물은 1년 전보다 0.2% 올라 안정세를 보였다. 전기·수도·가스 물가는 한국전력의 전기요금 인상 영향으로 1.1% 올랐다.
서비스는 1년 전보다 3.2% 올랐다. 전세는 2.5% 상승해 2017년 11월(2.6%) 이후 가장 많이 올랐고 월세는 0.9% 올랐다.
공공서비스는 5.4%, 개인 서비스는 2.7% 각각 상승했다. 소비심리가 회복되는 추세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체감물가를 설명하는 생활물가지수는 4.6% 올랐다. 2011년 8월(5.2%) 이후 가장 상승 폭이 크다.
다음 달 소비자물가 지수는 통신비 인하 효과가 점차 줄어들고, 유류세 인하 등 정부의 물가 안정 대책 등이 하방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세종=심희정 기자 simci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