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이번에는 대학교를 찾아 불법사금융 피해 상담을 진행한다.
학자금, 생활비, 급한 사정 등으로 불법사금융을 통해 대출을 받는 대학생들이 많다는 판단에서다.
경기도는 불법사금융 피해 우려지역을 찾아가 피해 상담부터 신고·구제 절차 안내 등을 수행하는 ‘찾아가는 불법사금융 피해상담소’를 4일까지 도내 대학 5곳에서 운영한다고 2일 밝혔다.
찾아가는 불법사금융 피해상담소는 2일 수원 소재 아주대를 시작으로 3일 성남에 위치한 가천대와 의정부에 있는 경민대, 그리고 마지막 날인 4일에는 부천의 유한대와 남양주의 경복대에서 각각 진행된다.
불법사금융 피해상담소 운영은 불법사금융 전담 수사관으로 구성된 상담조가 대학 내 임시 상담 창구를 마련해 직접 피해 상담·접수, 신고·구제 절차 등을 안내하고 상담한다.
이 과정에서 피해 확인 시 경기도 서민금융지원센터를 통한 ‘극저신용대출’ 등 유관기관 연계도 해준다.
또 피해 유형과 대처 요령 등을 담은 홍보물을 대학생들에게 배부한다.
경기도는 지난해 2월 찾아가는 불법사금융 피해상담소를 처음 시작했다.
현재까지 도내 전통시장·상점가 24곳(지난해 16곳, 올해 8곳)과 산업단지 4곳에서 피해신고·상담 100여건을 실시하고, 피해 예방을 위한 홍보 전단지 5500여장을 배부한 바 있다.
피해자들이 불법사금융 이용 노출에 대한 부담감, 보복의 두려움, 생업 등의 이유 때문에 수사기관 방문을 기피해 경기도가 직접 찾아가는 것이다.
경기도의 이러한 노력은 성과로 이어지고 있다.
불법사금융 피해상담소가 지난해 금융위원회의 불법사금융 근절 우수시책으로 선정됐다.
이와 함께 서울시 등 다른 지방정부에서 확대 운영하고 있다.
김영수 도 공정특별사법경찰단장은 “도민 누구나 불법사금융 피해를 입을 수 있고 도움의 손길이 필요할 수 있다”며 “경기도에서는 불법사금융 피해상담소 운영을 통해 불법사금융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고 예방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