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글래스고에서 1일(이하 현지시간) 열리는 제26차 기후변화당사자총회(COP26) 정상회의 계기 한·일 정상회담 성사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문 대통령은 COP26 정상회의 기조연설을 위해 전날 영국을 찾았고, 기시다 후미오 신임 일본 총리도 정상회의에 참석해 연설할 예정이다.
다만 이번 정상회의 기간 한·일 정상회담은 성사되기 어렵다는 분석이 많다. 기시다 행정부가 위안부·강제징용 등 과거사 문제 해결에 있어 강경 기조를 보였던 아베·스가 내각을 답습하는 기류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기시다 총리는 문재인정부에서 사실상 파기된 2015년 한·일 위안부 합의를 이끈 전력이 있다.
지난 7월 문 대통령의 도쿄올림픽 개막식 불참 이후 한·일 관계는 냉각 상태고, 양국 실무진 접촉도 최소화 됐다. 양국 간 현안 논의도 ‘올스톱’ 상황이다. 이런 가운데 양 정상이 실무진 보다 먼저 만나는 건 순리에 맞지 않다는 게 외교가의 분석이다.
앞서 기시다 총리는 지난달 15일 문 대통령과의 첫 전화통화에서 “대면 정상회담은 지금 현재는 아무 것도 정해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헝가리 국빈방문을 위해 2일 영국을 떠나고, 기시다 총리도 영국에 머무는 시간이 짧아 회담을 위한 물리적인 조건 자체가 어렵다는 평가가 나온다.
따라서 양 정상이 공식 회담을 하는 대신 회담장 밖이나 한 쪽에서 가볍게 조우하거나 풀어사이드(비공식 약식회담)로 만날 수 있다는 전망이 제기된다. 문 대통령이 기시다 총리가 이끄는 자민당의 선거 승리를 축하하는 식의 가벼운 대화가 오고갈 수 있다. 청와대 측은 “일본 정상과의 회동 여부나 방식은 정해진 바 없다”고 설명했다.
성사가 불확실한 한·일 정상회담과 달리 미·일 정상회담은 열릴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 기시다 총리는 이미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의 회담을 예고한 상태다. 이번 정상회의 기간 미·일 정상회담이 열리고, 한·미나 한·일 정상회담은 불발된다면 우리 정부가 국제 무대에서 일본에 밀렸다는 평가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글래스고=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