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전 세계적 인기를 끌고 있는 넷플릭스 드라마 ‘오징어 게임’에 대해 “미국 기업들의 배만 불려주고 있다”고 비난했다.
북한 대외선전 매체 메아리는 31일 ‘남조선 문화예술작품들, 미국 기업들의 돈벌이 수단으로 전락’이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최근 남조선의 문화예술 관련 기업들이 코로나 사태로 영화관 상영과 극장 공연 등이 침체 상태에 빠져들자 ‘넷플릭스’를 통해 처지를 개선하려고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넷플릭스로부터 제작비를 지원받아 콘텐츠를 제작하는 방식에 대해 ‘불공평한 계약’이라며 “남조선의 영화와 TV 극 등 수많은 작품이 넷플릭스에서 상영돼 수십억 달러의 수입을 얻고 있지만, 정작 남조선의 영화제작사들은 제작비의 10% 정도밖에 안 되는 돈만 받는다”고 덧붙였다.
매체는 이어 “남조선 각계에서는 영화 제작사들까지 미국기업에 털리고 있으며 남조선 문화예술작품들은 미국기업들의 돈벌이 수단으로 전락하고 있다고 비난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고 적었다.
북한 매체가 기사에서 구체적인 사례를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최근 ‘오징어 게임’이 전 세계적으로 돌풍을 일으키면서 넷플릭스의 독특한 계약방식이 함께 화제가 됐던 점을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인다.
넷플릭스는 작품이 제작되기 전 저작권을 구매하는 ‘선 계약 후 공급’ 방식을 통해 제작비부터 해외 마케팅, 더빙 작업 등을 책임지는 대신 콘텐츠 기획·연출자 등에게 흥행에 따른 추가 인센티브 등은 지급하지 않고 있다.
앞서 북한 선전 매체는 오징어 게임이 흥행에 성공하자 드라마의 폭력성을 꼬집거나 한국의 자본주의 사회 및 정치권의 대선 경쟁을 드라마에 빗대어 비난해 왔다.
이예솔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