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태우 영결식’ 김총리 “고인이 못한 사과 유족들이 이어가주길”

입력 2021-10-30 11:38 수정 2021-10-30 11:42
고(故) 노태우 전 대통령의 영정과 운구차량이 30일 오전 서울 서대문구 연희동 사저에 도착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부겸 국무총리가 30일 고(故) 노태우 전 대통령의 영결식에서 고인의 공적과 과오를 언급하며 유족들에게 “오늘 국가장의 의미와 국민들의 마음을 잊지 말고, 지금처럼 고인이 직접 하지 못했던 사과를 이어가 주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국가장법에 따라 장례위원장을 맡은 김 총리는 이날 서울 송파구 올림픽공원 평화의광장에서 열린 노 전 대통령의 영결식에서 “고인께서 병중에 들기 전에 직접 피해자와 유가족들을 만나 사죄를 했더라면 하는 아쉬움과 안타까움도 남는다”며 이같이 밝혔다.

김 총리는 ‘88서울올림픽’의 성공적인 개최, 남북기본합의서 채택 등 노 전 대통령의 공적을 소개하면서도 “노태우 대통령님이 우리 현대사에서 지울 수 없는 큰 과오를 저지른 것은 움직일 수 없는 사실”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고인께서 대통령으로 재임하는 동안 많은 공적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오늘 우리가 애도만 하지 못하는 것은 우리 공동체가 풀어야 할 숙제가 아직도 많이 남아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또 김 총리는 노 전 대통령의 장례를 국가장으로 치르게 된 것에 대해 “우리의 마음을 움직인 것은 고인이 유언을 통해 국민들께 과거의 잘못에 대한 사죄와 용서의 뜻을 밝힌 것”이라며 “대통령님의 가족께서는 5·18 광주민주묘지를 여러 차례 참배하고 용서를 구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김 총리는 “국가장에 반대하는 국민들의 마음도 충분히 이해한다. 어떤 사죄로도 5·18과 민주화 과정에서 희생되신 영령들을 다 위로할 수 없음을 우리는 알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김 총리는 오늘의 영결식이 고인을 애도하는 자리이자 화해와 통합의 역사로 가는 자리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총리는 “우리는 또한 역사 앞에서 진실을 밝히고 피해자들에게 이해와 용서를 구할 때 비로소 진정한 화해가 시작된다는 것도 잘 알고 있다”며 “모든 역사는 현재의 역사다. 과거는 묻히는 것이 아니라 우리 공동체가 함께 만들어 가는 역사로 늘 살아있다”고 했다.

박성영 기자 ps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