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상 ‘유·무선 네트워크 관련 작업’은 이용자가 적은 심야나 새벽 시간대에 진행된다. 지난 25일 KT ‘먹통’ 사태가 이용자가 집중되는 낮 시간대에 벌어진 것을 두고 업계에서 “있을 수 없는 일”이라는 반응이 나오는 이유다. 그런데 국민일보 취재 결과 KT와 협력업체 측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부) 조사에서 “밤에 작업이 오래 걸릴 것 같아 미리 낮에 할 수 있는 것을 하려고 했다”고 상식에 부합하지 않는 해명을 한 사실이 확인됐다.
과기부 관계자는 29일 국민일보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KT와 협력업체 측에 확인한 결과 작업시간이 밤에는 너무 오래 걸릴 것 같으니, 낮에 할 수 있는 건 먼저 하려했다고 한 것으로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작업계획서를 확인해보니 여러 가지 작업이 있었다”면서 “(KT와 협력업체 측이) 사전에 미리 좀 해놓으려고 낮에 먼저 작업을 시작했다고 진술했다”고 말했다.
과기부에 따르면 KT네트워크관제센터는 부산의 한 시설에서 당초 26일 새벽 1~6시에 ‘라우팅’(네트워크 경로 설정) 작업을 하도록 승인했다. 그런데 실제 작업은 예정과 달리 25일 낮 시간에 이뤄졌다. 협력업체 직원들이 라우팅 작업 도중 ‘exit’라는 명령어를 누락했고, 잘못 입력된 정보는 입력된 지 30초 내 부산에서 전국으로 전달됐다. 네트워크 장애는 이용자 숫자가 집중되는 오전 11시16분부터 낮 12시45분까지 약 90분간 발생했다.
KT와 협력업체 측이 앞서 내놓은 해명은 작업계획 위반을 자인한 것과 다름없다. 과기부는 이날 KT의 네트워크 장애원인 분석결과 브리핑에서 ‘새벽에 예정된 작업이 왜 낮에 이뤄졌느냐’는 질문에 “야간 작업을 좋아하는 사람은 없고, 주간 작업을 선호했던 것으로 파악했다”고 밝혔다. 이는 KT관리자와 협력업체 직원 양측의 합의 아래 이뤄진 것으로 조사됐다.
과기부에 따르면 KT 측은 이번처럼 낮 시간대에 작업한 전례는 없었다는 입장이다. KT 측은 ‘이번에 부산에서 낮 시간대 작업을 한 것은 맞지만 예외적인 경우였다’는 취지로 진술했다고 한다. 그런데 본보 취재에 따르면 협력업체 직원 측은 25일 낮 사전작업을 한 뒤 당초 예정된 26일 새벽에도 잔여 작업을 할 계획이었던 것으로 파악됐다. 작업량이 많을 경우 이번처럼 낮 시간대 작업을 한 전례가 없었는지 조사가 필요해 보이는 대목이다.
KT 측 관리자 없이 협력업체 직원만 현장에서 작업한 것도 문제다. 당시 현장에 있어야 했던 관리자는 자리를 비웠던 이유에 대해 “다른 업무가 있었다”고 과기부에 답했다. KT 측은 과기부 조사 과정에서 협력업체 직원만 작업하는 건 KT 내부규정에 어긋난다는 점을 인정했다고 한다. 마찬가지로 관리자 없이 작업이 이뤄진 다른 사례가 없는지 점검이 필요한 부분이다.
당장 업계에서는 “있을 수 없는 일”이라는 비판이 나온다. 이날 허성욱 과기부 네트워크정책실장은 “네트워크 작업은 야간에 해야 한다는 것은 ‘파란불 신호에 길을 건너야 한다’ 같은 기본 상식”이라며 “생각지도 못한 사고가 나와 정부로서도 당황스럽다”고 말했다.
구자창 기자 criti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