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무불이행(디폴트) 위기에 처했던 중국 부동산 업체 헝다가 29일 유예기간 만료일을 앞두고 달러 채권 이자를 지급해 공식 디폴트 위기를 다시 한번 넘겼다고 뉴욕타임스(NYT)가 2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NYT는 이날 한 채권 보유자의 말을 인용해 헝다가 29일 유예기간이 끝나는 달러 채권의 이자를 지급했다고 보도했다.
당초 헝다는 지난달 29일 예정일에 달러 채권 이자 4520만달러(약 528억원)를 채권 보유자들에게 지급하지 못하며 디폴트 위기에 처했다. 다만 달러 채권 계약서상 유예기간이 30일 있어 바로 공식 디폴트가 선언되진 않았다.
이에 따라 29일은 헝다의 2차 고비로 주목받았다.
중국 관영 증권시보는 헝다가 지난 21일 유예기간이 끝나는 달러 채권 이자 8350만달러(약 976억원)를 송금했다고 지난 22일 보도해 ‘1차 고비’를 넘겼다고 전한 바 있다.
다만 이번 채권 상환 관련 헝다 측 공식 입장은 아직 나오지 않고 있다. 최근 중국 당국이 자국의 대형 부동산 업체들에 달러 채권을 잘 갚으라는 요구를 공개적으로 함에 따라 시장에서는 헝다가 이번에도 데드라인을 앞두고 채권 이자를 지급할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 제기된 바 있다.
하지만 부채가 약 2조 위안(약 366조원)에 달하는 헝다의 유동성 문제가 근본적으로 해소되지 않은 상황이다. 헝다는 자회사인 헝다 물업 지분을 매각해 3조원대 현금을 확보하려 했으나 무산돼 유동성 위기를 넘기려는 계획에 차질이 생겼다.
헝다는 다음달 11일까지 1억4800만달러(약 1731억원)의 달러 채권 이자를 또 내야 한다. 지난 11일 내지 못해 다음달 11일까지 유예된 이자다. 이 외에 4건의 달러화 채권 이자를 추가로 막아야 하며 내년까지 상환해야 할 달러화·위안화 채권 규모는 74억 달러(약 8조6000억원)에 달한다.
조민영 기자 my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