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코로나19 백신 중 ‘돌파 감염’ 비율이 가장 높은 얀센 백신 접종자에 대해 추가접종(부스터샷) 없이도 접종완료자로 분류하겠다고 밝혔다. 얀센 백신 접종자의 경우 오는 11월부터 추가접종 대상이지만, 추가접종 여부와 무관하게 ‘백신 패스’는 가능하다는 의미다.
28일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중앙방역대책본부 정례브리핑에서 “11월 1일부터 예정하고 있는 단계적 일상회복 과정에서의 접종증명·검사음성제도에서는 아직까지 추가접종을 의무적으로 해야만 접종증명자로 인정하는 기준을 갖고 있지는 않다”고 밝혔다.
예를 들어 1차 접종으로 접종증명이 되는 얀센 백신을 맞은 경우 추가 접종을 하지 않더라도 노래방·헬스장·목욕탕 등 백신 패스가 적용되는 시설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는 의미다.
앞서 정부와 방역 당국은 11월부터 ‘단계적 일상회복’(위드 코로나)으로 전환하면서 백신 패스를 도입하기로 했다. 유흥시설을 비롯해 노래방·실내체육시설·목욕탕 등 다중시설에 한해 백신 접종을 완료했거나 PCR검사 결과 음성 확인이 된 경우에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계획이다.
얀센 백신은 감염예방 효과가 5개월 만에 88%에서 3%로 감소했다는 미국 공중보건소의 보고서 결과가 나오면서 논란이 됐다. 정부는 그에 따라 얀센 백신 접종자를 추가접종 대상에 포함시켰다. 지난해 4∼10월 백신별 접종자 10만명 당 돌파감염자는 얀센이 266.5명으로 아스트라제네카(99.1명), 화이자(48.2명), 모더나(4.6명), 교차접종(71.1명)에 비해 훨씬 많았다.
정 청장은 “현재 얀센 백신인 경우에는 저희가 접종완료자가 한 140만 명이 좀 넘는, 143만 명 정도가 접종을 완료했다”며 “소위 말하는 돌파감염 추정사례를 3800명 정도(0.2%)로 보고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추가접종을 가능한 맞기를 권고드린다”며 “접종증명제(백신 패스)에 대해서는 1차적으로는 기본접종 대상자 기준으로 운영하겠다”고 설명했다.
다만 정 청장은 “단계적 일상회복을 하면서 환자 발생 동향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며 “추가접종 진행상황 등을 살펴보면서 좀 더 안전한 방법을 고민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 청장은 백신 패스를 해제하는 시점에 대해서는 “현재로서는 예측해서 말씀드리기 어렵다”며 구체적인 시기를 밝히지 않았다. 그러면서 “가장 단기 목표는 1차 전환할 때 안정적으로 방역상황을 저희가 감당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감당 가능하고 2단계로 전환하는 게 목표”라며 “최대한 접종증명서 제도가 안착되도록 운영하고, 이후에 보완이나 수정에 대한 계획은 계속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구자창 기자 criti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