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의 발달로 요즘 젊은 세대는 가상현실(VR) 공간에서 자신의 분신과도 같은 캐릭터 ‘아바타’를 만들어 쇼핑하거나 게임을 즐기고, 친구들과 만난다. 이른바 ‘메타버스(metaverse)’ 시대다. 이런 현실에서 교회가 다양한 형태로 복음을 전하는 ‘메타처치(metachurch)’가 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국민일보는 28일 서울 여의도 국민일보빌딩 12층 컨벤션홀에서 ‘위드 코로나 시대, 목회를 말하다’를 주제로 2021 국민미션포럼을 개최했다.
이재훈 온누리교회 목사는 이날 ‘메타버스 시대의 메타처치 목회’란 주제로 강연하며 미래교회는 ‘메타처치’가 돼야 한다고 했다. ‘메타버스’란 가상, 초월을 의미하는 ‘메타’와 세계를 뜻하는 ‘유니버스’를 합친 말로, ‘가상세계’를 말한다.
이 목사는 “‘메타’란 헬라어 속엔 항상 변화한다는 의미가 담겨 있다”며 “메타처치는 어떤 환경에도 유연하게 변화하고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춘 교회를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성경 고린도전서 9장 19~23절에 나온 구절을 인용하며 “복음을 전하며 사람을 구하고자 한다면 복음은 여러 모양으로 전달돼야 한다”고 말했다. 교회가 복음 전파를 위해 디지털에 익숙한 다음세대와 그에 익숙하지 않은 세대 모두 품을 수 있어야 한다는 얘기다.
이 목사는 VR 기술을 목회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으로 몇 가지 사례를 제시했다. VR 기술을 활용해 해외 선교지를 가상공간에서 간접적으로나마 체험할 수 있도록 하거나 성경 속 이야기를 가상 체험할 수 있는 콘텐츠를 만들 수도 있다. 신앙은 없지만, 교회와 예배에 관심 있는 전도 대상자들이 VR을 통해 예배에 잠시나마 참여, 체험할 수 있도록 돕는 콘텐츠를 교회가 마련해둔다면 전도의 도구로도 활용할 수 있다.
이 목사는 “교회가 VR 기술을 활용한다면, 머지않아 노약자나 환자 성도가 교회에 직접 나오지 못하더라도 마치 교회 예배당, 원하는 좌석에 앉아 예배를 드리는 듯한 느낌을 줄 수 있을 것”이라며 “예배의 경험을 지속하게 해 신앙을 이어갈 수 있도록 돕는 효과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기독교윤리학자 리처드 니부어나 선교학자 폴 히버트가 말했듯이 교회는 그 시대 문화의 혁신, 변혁을 이끄는 자가 돼야 한다”며 “교회가 문화를 변혁시키며 다른 문화권에 복음을 전하는 메타처치의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메타버스를 중요한 도구로 삼고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날 행사는 코로나19 방역수칙에 따라 현장 참여 인원을 최소화하고 유튜브 ‘미션라이프’로 생중계했다.
임보혁 기자 bosse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