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태우 전 대통령의 장례를 국가장으로 치르는 것과 관련해 전두환 전 대통령에 대해서도 일각에서 국가장을 언급하자 이철희 청와대 정무수석이 “일고의 가치도 없다”고 일축했다.
이 수석은 28일 CBS라디오에 나와 “전 전 대통령의 사례를 언급하는 분들도 있던데, 노 전 대통령과 전 전 대통령은 완전히 다른 케이스”라며 “전 전 대통령의 경우 국가장이나 국립묘지 안장은 일고의 가치도 없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노 전 대통령의 경우 “본인이 용서를 구한다는 유언도 남겼고 유족들도 5·18 관련 사과를 하는 모습을 보였다”면서 전 전 대통령과의 차이점을 강조했다. 이 수석은 그러면서도 “노 전 대통령을 국가장으로 한다고 해서 이분에 대한 역사적 또는 국민적 평가가 끝났다는 것은 아니다”고 선을 그었다.
이어 “국가장으로 치르는 것에 대해서 아직 마음으로 용서하지 않는 분들이 불편함을 느끼고 부적절하다고 지적하는 것에는 충분히 공감한다. 저도 개인적으로는 그런 생각을 가진 사람 중 하나”라고 했다.
그런데도 국가장을 결정한 배경에 대해서는 “특별한 의도는 없다. 대선을 앞두고 고려한 것 아니냐고 하는데 그럴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이 수석은 이어 “문재인 대통령이 인권변호사 출신이자 민주화운동을 했다. 그런 배경을 가진 대통령이 이런 조치를 한 것은 국민통합이나 화합에 기여할 것이라는 생각은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수석은 지난 26일 문 대통령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의 회동과 관련해서는 “(선거 관련 얘기는) 0.1도 없었다”고 강조했다.
국민의힘 대선 후보인 윤석열 전 검찰총장이 이번 회동이 대장동 비리 의혹 수사에 영향을 줄 수 있다면서 ‘잘못된 만남’이라고 비판한 것에는 “요즘 검찰이 청와대 눈치를 살펴 가며 수사하지 않는다”며 “윤 전 총장이 당내 경선이 워낙 치열하다 보니 그런 것 아닌가”라고 했다.
대장동 비리 의혹에 대한 야당의 특검 도입 요구에 대해서는 “특검은 국회에서 여야 간 논의할 사안 아닌가. 청와대가 이래라저래라 할 사안이 아니다”고 했다.
이어 ‘국회가 정하면 수용할 것인가’라고 묻자 “여야가 합의하면 받아들여야 한다”고 답했다.
유영민 대통령 비서실장이 최근 국회 운영위원회에서 ‘내부적으로 고민하고 있다’고 언급한 것에 대해서는 “특검에 여야가 합의할 경우, 합의하지 않을 경우 어떻게 될까 등을 고민하는 것이지, 특검을 수용할지 말지를 고민하는 게 아니다”고 선을 그었다.
조민영 기자 my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