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로 비대면이 일상화되면서 국내 무용계에서 일어난 변화 중 두드러진 것은 댄스 필름에 대한 폭발적 관심과 제작 증가다. 댄스 필름(Dance film)은 직역하면 ‘무용 영화’지만 대체로 무용 소재 극영화나 무용 공연 영상을 제외하고 영상 매체에서만 가능한 표현을 보여주는 무용이 담긴 작품을 가리킨다. 국가나 학자에 따라 비디오 댄스(Video dance), 스크린 댄스(Screen dance), 코레오 시네마(Choreo-cinema), 시네 댄스(Cine-dance) 등 다양한 명칭으로도 불리지만 최근 국내에선 댄스 필름으로 통용되고 있다.
댄스 필름은 1940년대 무용, 영화, 영화이론 등 다양한 영역에서 활동한 미국 여성 예술가 마야 데런을 선구자로 본다. 데런은 무용을 기록하던 기존의 1차원적 영상에서 벗어나 창조적인 작업을 보여줬다. 이후 댄스 필름은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독자적인 예술 형태로 인정돼 영화제와 TV 등에서 활발하게 만들어졌다. 국내에선 1980년대 중반부터 프랑스와 미국에서 ‘비디오 댄스’ 타이틀로 작업하던 김현옥 전 계명대 교수가 1990년대 초반 귀국하며 소개됐지만, 무용계에 큰 반향을 일으키지 못했다.
코로나 시대 댄스 필름 열풍 속 돋보이는 존재감
하지만 영상문화와 테크놀로지의 빠른 발달에 발맞춰 2000년대 말부터 국내에서도 영상에 관심을 가지는 젊은 안무가들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코로나 팬데믹은 안무가들이 너도나도 댄스 필름을 제작하는 계기가 됐다. 송주원(48)은 최근 댄스 필름 분야에서 가장 활발한 작업을 보여주는 안무가로 손꼽힌다. 변형되고 사라지는 도시 속 공간에서 춤으로 말을 걸고 질문하는 도시공간무용 프로젝트 ‘풍정.각(風情.刻)’ 시리즈는 그의 대표작이다. 무엇이 블랙박스 극장에서 그를 밖으로 내보내 카메라를 향하도록 했을까. 지난 25일 예술의전당 오페라하우스 4층 국립현대무용단에서 만난 송주원은 ‘공간의 맛’ 때문이라고 답했다.
“이제는 저를 안무가이자 댄스 필름 감독 그리고 영상아티스트라고 소개하는데요. 제가 영화를 좋아하고 다양한 장르의 예술가들과 협업해 왔지만, 영상 작업을 시작한 것은 2013년 준비작업을 거쳐 2014년부터입니다. 다만 처음엔 댄스 필름 자체에 대한 의지가 있었던 것이 아니었어요. 공연장 바깥에서 하는 장소특정적 무용 공연을 만들고 영상에 담으면서 자연스럽게 연결됐습니다.”
한양대 무용과와 한국예술종합학교 전문사를 졸업한 송주원에게 20대는 좋은 무용수가 되기 위해, 그리고 30대는 좋은 안무가가 되기 위해 노력한 시기였다. 한양대 동문 무용단인 밀물현대무용단에서 활동했던 그는 1997년 아르코 소극장에서 ‘가고 싶지 않았어’로 안무가로도 데뷔했다. 이후 무용수로서 국내 안무가 안은미 장은정 밝넝쿨 등과 해외 안무가 조엘 부비에, 자비에르 르로이 등의 작업에 참여했다. 특히 안무가로서 2004년 일일댄스프로젝트를 창단해 본격적으로 작품을 만들기 시작했다.
“2000년대 유럽에서 여러 안무가의 워크숍을 찾아다니며 배웠어요. 특히 2005년 프랑스 르와요몽 재단의 초청으로 참여한 안무가 수잔 버지의 워크숍은 많은 깨달음을 줬어요. 당시 안무가로서 춤의 기본적인 요소들을 재정립하도록 해 줬습니다.”
대표작인 도시공간무용 프로젝트 ‘풍정.각’ 시리즈
하지만 국내에서 안무 작업은 만만치 않았다. 무엇보다 극장 공연과 그 공연을 위한 리허설을 진행하기엔 예산이 늘 부족했다. 그런 그의 눈에 띈 것이 도시 곳곳에서 시간의 흔적을 품은 장소들이었다. 그는 삶의 장소가 곧 무대가 될 수 있겠다고 생각했다.
“제가 걷는 것을 좋아하는데요. 걷다 보면 공연하고 싶은 장소가 눈에 띕니다. 제가 극장 밖으로 나가는 큰 계기가 됐던 것은 2013년 국립현대무용단에서 국내 안무가 초청공연이었습니다. 당시 ‘환.각(幻.刻)’이란 작품을 올렸는데요. 그때 좋은 제작여건에도 불구하고 힘들었던 경험 때문에 무대 밖에서 작업하고 싶다는 생각이 강하게 들었어요. 좀 더 리얼한 삶의 장소에서 춤을 추고 싶었습니다.”
2014년 전통 한옥으로 된 서울 북촌문화센터의 마당과 안방에서 공연을 올릴 기회가 송주원에게 찾아 왔다. 바로 대표작인 도시공간무용 프로젝트 ‘풍정.각’ 시리즈의 시작이다. 그는 “처음엔 댄스 필름 작업이 아니라 당시 야외에서 열린 장소특정적 공연을 기록하는 동시에 관객에게 현장에서 못 본 뷰(장면)를 보여주고 싶어서 영상을 찍었다”며서 “‘풍정.각’ 시리즈의 3편까지는 사실상 공연 기록이고 4편부터가 댄스 필름이라고 할 수 있다”고 말했다.
‘풍정.각’이란 제목에서 ‘풍(風)’은 알 수 없는 삶의 좌표와 같은 것, ‘정(情)’은 그 안에 새겨져 있는 감정, ‘각(刻)’은 그 찰나의 기록을 뜻한다. 송주원이 영상 작업을 처음 시작할 당시 자신의 삶에 대한 고민과 그에 따른 질문에서 만든 제목이다.
“마흔 살쯤 자신의 삶을 되돌아보면서 많은 고민을 했어요. ‘나는 지금 어디에 있는 걸까?’ ‘나는 여기서 무엇을 하고 있는가?’ 등 자신에게 질문을 던졌습니다. 그런데, 어릴 때부터 해온 춤의 의미가 ‘풍정.각’ 작업을 하며 분명해졌어요.”
시간이 축적된 장소에서 춤으로 삶을 기억하다
‘풍정.각’ 시리즈는 현재 15편까지 나와 있는데, 각 편에는 부제가 달려 있다. 예를 들어 본격적인 댄스 필름의 시작인 4편은 2015년 제1회 세계문자심포지아에 출품된 것으로 ‘골목낭독회’라는 부제를 달았다. 서촌 갤러리 팩토리에서 영상 스크리닝 전시와 퍼포먼스를 함께 진행하는 방식으로 발표된 이 작품은 통의동과 옥인동의 재개발 지역 골목에서 무용수들의 움직임을 보여준다. 이외에도 ‘풍정.각’ 시리즈는 낙원상가, 세운상가, 장한평 등 주로 도시에서 쇠락한 공간을 배경으로 한다. 개발의 자본 논리로 변형되고 사라지는 곳들이다.
“저는 시간이 축적된 장소를 좋아합니다. 그런 곳일수록 그곳에 투영된 삶에 대해 많은 이야기를 할 수 있으니까요. 제 작품에서 ‘장소성’은 매우 중요합니다. 장소에 따라 무용수의 신체에 작동하는 것이 다르고, 관객이 경험하거나 해석하는 것이 달라지거든요. 그래서 작품을 구상하면 우선 무용수들과 여러 차례 해당 공간을 방문해 장소성을 몸에 체화시키도록 합니다. 무용수들의 경우 시멘트 바닥에서 춤추다 보니 팔꿈치가 까지는 것은 예사일 정도로 고생합니다.”
댄스 필름을 시작한 이후 그는 꾸준히 영상 공부를 하고 있다. 처음에는 카메라를 다룰 줄도 몰랐기 때문에 직접 휴대전화로 장소와 무용수들의 동선을 미리 찍은 뒤 촬영 감독에게 보여주는 형태로 소통해야 했다. 그러나 이런 과정을 겪으며 그의 필모그래피는 ‘풍정.각’ 시리즈를 비롯해 ‘반성이 반성을 반성하지 않는 것처럼’ ‘나는 사자다’ 등 여러 작품들로 풍성해졌다. 그리고 그의 작품들은 LA댄스카메라웨스트, 런던스크린댄스페스티벌, 댄스필름페스티벌도쿄, 마카오댄스필름페스티벌, 서울독립영화제 등에서 상영됐으며 서울무용영화제 최우수작품상(2017년)과 서울국제뉴미디어페스티벌 상영부문 관객상(2018년), 천안춤영화제 우수상(2018년), 이탈리아 국제 푸오리포마토 현대무용&댄스필름 페스티벌 관객상(2021년)을 수상하기도 했다. 이와 함께 그의 작업은 국립현대미술관과 서서울미술관 등에서 퍼포먼스와 영상 전시 형태로도 선보여지고 있다.
“카메라로 다른 안무가들과도 호흡하고 싶다”
“‘풍정.각-골목낭독회’를 찍을 때만 해도 제 영상 작업이 영화적으로 어떤 의미가 있는지 잘 몰랐어요. 그런데, 아는 큐레이터나 촬영감독이 댄스 필름으로서 힘을 가지게 될 거라고 응원해 주면서 저도 계속 작업을 하게 됐습니다. 국내에서는 (2017년 서울무용영화제가 생길 정도로) 댄스 필름을 상영하는 곳이 거의 없었기 때문에 주로 해외 댄스 필름 영화제에 출품했어요. 거기서 상을 받고 다른 댄스 필름 영화제에서 상영될 기회를 얻기도 했고요. 그리고 2018년 국립현대미술관 창동 레지던시에 입주해있을 때 제 작품을 본 한 영화감독님이 일반 영화제에도 출품하라고 권유해서 국내외 영화제에 출품하고 있습니다.”
안무가이자 댄스 필름 감독인 그는 최근 영상 아티스트로서도 보폭을 넓혀가고 있다.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이 주최하는 국내 최대 공예축제인 ‘공예주간’은 지난해 홍보영상 ‘풍류정원, 시적 일상의 순간들’과 ‘다함께 차차차’ 행사와 전시 기록 등을 그에게 맡겼다. 또 대림문화재단의 디뮤지엄 역시 ‘SOUNDMUSEUM : 너의 감정과 기억’ 전시 소개를 댄스 필름 형태로 만들어 달라고 요청했다. 그는 “춤을 췄거나 안무하는 사람들이 찍는 영상은 일반 영상과 감각이 다르다”면서 “그런 섬세함이 영상에서 드러나길 원하기 때문에 나를 찾는 거 같다”고 말했다.
요즘 무용계에서 너도나도 댄스 필름을 찍기 때문에 촬영감독에 대한 수요가 많아져 예전보다 작업하기가 힘들어졌다는 게 그의 푸념이다. 하지만 그는 오랫동안 천천히 자신의 길을 만들어온 사람의 여유를 숨기지 않는다. 그는 “그동안 주로 제 작업을 중심으로 댄스 필름을 찍었다면 앞으로는 카메라로 젊은 안무가들과 호흡을 함께 하고 싶다”며 “60살쯤 되면 안무가들의 다큐멘터리도 만들고 싶다”고 말했다.
장지영 선임기자 jy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