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신패스’ 목적 코로나 검사, 미접종자 유료화 검토

입력 2021-10-26 16:29 수정 2021-10-27 09:10
26일 오후 서울 용산구 코로나19 예방접종센터에서 시민들이 백신 접종을 받은 후 이상반응 모니터링을 위해 대기하고 있다. 뉴시스

다음 달 1일부터 도입되는 ‘백신 패스’로 인해 미접종자들의 유전자증폭(PCR) 진단검사 수요가 늘어날 전망이다. 일단 방역당국은 백신 패스 도입 초기에는 PCR 무료검사 체계를 유지하기로 했다. 다만 수요가 급증하면 시설 이용 목적의 검사는 유료로 전환할 가능성도 있다.

26일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가 마련한 ‘단계적 일상회복’ 이행방안 초안에 따르면 정부는 내달 1일부터 감염 고위험시설에 백신 접종증명서나 음성확인서를 보여주면 입장을 허용하는 백신 패스를 도입한다.

미접종자는 PCR 음성확인서를 지참하지 않으면 감염 고위험시설 이용이 제한된다. 유흥시설, 노래연습장, 실내체육시설, 목욕장업, 경마·경륜, 카지노 등이 감염 고위험시설에 속한다. 요양병원처럼 집단감염에 취약한 의료기관과 복지시설도 마찬가지다. 100인 이상 행사·집회도 의무 적용 대상이다.

미접종자 또는 접종을 마친 후 2주가 지나지 않은 미완료자는 해당 시설을 이용하거나 콘서트 등 대규모 행사에 참여하기 위해선 보건소 PCR 검사를 거쳐 음성확인서를 받아야 한다.

방역당국은 당장 다음 주부터 PCR 검사가 급증할 것으로 보고 있다. 헬스장과 탁구장 등 일반인이 매일 사용하는 시설도 포함돼 있어서다. 실내체육시설에는 헬스장, 탁구장 등 2그룹 시설은 물론이고 스크린골프장, 당구장, 볼링장 등 3그룹 시설이 모두 적용된다.

국민일보DB

당장은 PCR 검사를 무료로 제공할 계획이지만 유료 전환 가능성도 있다. 확진자, 밀접접촉자, 감염의심자 등에 대한 검사량이 급증하는 가운데 시설 이용을 위한 검사 수요까지 겹치면 진단검사 업무에 과부하가 걸릴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시설 이용 목적의 PCR 검사 비용만큼은 유료화하는 방침도 고려하는 이유도 그래서다.

질병청 관계자는 “백신 패스 도입으로 PCR 검사 수요가 일부 늘어날 가능성이 있지만 그 정도 수요를 감당할 인프라는 갖추고 있다”면서 “코로나19 유행이 악화하고 시설 입장을 위한 PCR 검사 늘어날 경우를 대비해 유료화나 민간 의료기관 활용방안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송태화 기자 alv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