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고령화·양극화 등 ‘3대 위기’ 해결을 위한 방안으로 온라인 기반의 환황해권 소통·협력 플랫폼을 구축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충남도는 26일 예산 스플라스리솜에서 ‘제7회 환황해 포럼’을 개최했다. 도가 주최하고 한반도평화포럼이 주관했으며 외교부·통일부·보건복지부·해양수산부가 후원했다.
양승조 충남도지사와 홍문표·이정문 국회의원, 싱 하이밍 주한중국대사, 아이보시 코이치 주한일본대사, 디나라 케멜로바 주한키르기스스탄대사, 문정인 세종연구소 이사장, 허재영 국가물관리위원회 위원장 등이 참석했다.
포럼은 개회선언과 기조강연, 평화선언문 낭독, 특별세션과 본 세션 등이 진행됐다.
‘2021년 한반도 정세 전망 및 지방정부의 대응과 역할’을 주제로 열린 특별세션은 양승조 지사가 좌장을 맡아 한반도 평화를 위한 방안을 논의했다.
본 세션인 ‘번영’ 분야는 사회·경제 양극화 해소를 위한 지방정부 대응 방안, 인구 감소에 따른 지방도시 소멸 위기 극복 방안 등을 다뤘다.
‘공생’ 분야는 코로나19 등 신종감염병 대응을 위한 지방정부 차원의 다자협력 방안, 수산자원 황폐화 방지 및 해양쓰레기 없는 바다 조성을 위한 환황해권 협력 방안을 주제로 발제와 토론이 이어졌다.
‘글로벌 위기와 협력, 그리고 환황해의 미래’를 주제로 한 기조강연에서 양 지사는 “저출산·고령화·양극화는 현재의 재난이자 미래의 재난”이라고 규정했다.
그는 “우리는 코로나19를 통해 재난을 경험했지만, 동시에 시민의 적극적인 참여와 소통·협력과 같은 대응법을 배웠다”며 “이 대응법은 저출산·고령화·양극화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양 지사는 우리나라 상위 0.1% 1만8000여명의 소득이 하위 17%인 324만명의 소득과 맞먹고, 하위 50%의 국민이 가진 자산은 2%에 불과하다며 양극화 문제를 꼬집었다.
또 지난해 기준 국내 출산율이 0.84명으로 OECD 회원국 중 유일하게 0명대를 기록한 점, 43.4%에 달하는 노인빈곤율이 OECD 평균인 14.8%를 크게 상회하는 점에 대해서도 지적했다.
이를 위한 해법으로 온라인 위기극복포럼 조성(플랫폼), 온라인 청년·시니어클럽 활동(시민참여), 온라인 데이터 공유(협력) 등을 제시했다.
양 지사는 “인터넷과 소셜미디어를 통해 개인이 정보와 지식을 거의 무료로 접근하고, 정보와 지식 생산에 참여할 수 있게 됐다”며 “수많은 참여자가 만드는 네트워크 효과로 현대의 난제를 풀기에 적합하다”고 했다.
그러면서 “환황해 청년과 시니어가 만나 양극화와 저출산·고령화를 같이 논의하고 대안을 제시하는 시민 참여 클럽을 제안한다”고 덧붙였다.
예산=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