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소멸 막자’ 대구 인재 3만명, 일자리 5만개 창출

입력 2021-10-26 13:58 수정 2021-10-26 15:56

대구시가 지방소멸 위기를 사전에 막기 위해 정책 패러다임 전환을 꾀한다. 지역에 기반을 둔 인재를 양성하고 양질의 일자리를 마련해 청년 유출을 막고 다른 지역 청년들도 불러들일 수 있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 계획이다.

대구시는 26일 엑스코에서 대구 정책을 인재 중심으로 바꾸는 ‘미래인재도시 대구’ 비전 선포식(사진)을 열었다. 이 자리는 청년, 교육·연구계, 산업·경제계, 대구시의회, 자치단체 등 지역사회 구성원들이 모여 미래인재도시 대구 비전과 기본방향을 공유하기 위해 마련했다.

대구는 대도시지만 인구감소와 유출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수도권 쏠림에 따른 지역기업과 지방대학의 위기가 심화되고 있고 청년 유출, 저출산, 고령화 등 인구소멸 위기도 다가오고 있다. 대구의 경우 최근 5년 동안 지역을 떠난 인구가 7만5946명인데 이중 청년(20~29세)이 3만302명으로 전체의 40%에 이른다. 대구 인구도 230만명대로 떨어졌다. 이에 지역의 구조적 악순환을 극복하고 미래사회로 나아가기 위해 지역발전 전략이 절실하다는 인식이 확산됐다.

대구시는 앞으로 5년 동안 미래사회주도 혁신인재 3만명 양성, 미래산업일자리 5만개 창출, 한국인이 가장 살고 싶은 국내 도시 3위를 목표로 각종 시책을 펼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인적혁신역량 강화, 지역경제역량 제고, 창조혁신환경 조성, 지속발전기반 확충이라는 4대 정책과 인재기반의 산업혁신 강화, 지역기업 신규고용 확대, 혁신지향의 창업·창직 촉진, 역외관계인구기반 인재 유입 등 9대 중점과제별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미래인재도시 대구 선언은 대구가 사람을 키우고 인재가 대구의 미래를 키우는 선순환 지역발전구조를 만드는 인재중심의 대전환”이라며 “교육도시 대구 명성과 미래산업분야 테스트베드 역량을 토대로 대구를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미래인재 중심도시로 만들겠다”고 말했다.

한편 대구시는 27일 미래인재도시 대구 선언을 확산하는 의미로 ‘인재기반의 도시혁신을 위한 열린 대구’를 주제로 제6회 창조도시 글로벌포럼을 개최한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