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을 개 취급”…“호남선 분노, 영남선 한숨”
윤석열 “불찰…국민께 사과드린다”
윤석열·김종인 전날 TV토론 이후 만찬 회동
경선 판도 초대형 변수…홍준표 반사이익 가능성
윤석열 전 검찰총장 캠프가 반려견에게 사과를 주는 사진을 SNS에 올린 데 대한 후폭풍이 쓰나미가 돼 윤 전 총장을 덮쳤다.
특히 윤 전 총장이 ‘전두환 옹호 논란’ 발언에 대해 지난 21일 “송구하다”고 직접 사과한 이후 반려견에게 사과를 주는 사진이 올라가면서 국민들의 거센 분노가 일었다.
“국민을 개 취급한 것이냐”, “국민을 조롱하는 것 아니냐”, “사과에 진정성이 없는 것이냐” 등의 비난이 쏟아졌다.
한 수도권 의원은 “윤 전 총장이 대선 출마 선언을 한 이후 최대 위기를 맞았다”면서 “이번 사건으로 호남에서는 분노가 쏟아지고, 영남에서는 한숨이 나오고 있다”고 말했다.
윤 전 총장은 22일 국민의힘 대선 경선 두 번째 맞수토론에서 ‘반려견 사과’ 후폭풍에 대해 “(제) 불찰”이라며 “국민께 사과드린다”고 밝혔다.
윤 전 총장 측은 “실무진의 실수였다”면서 해명했다. 또 ‘반려견 사과’ 논란을 빚은 반려동물 전용 SNS ‘토리스타그램’을 삭제했다. 그러나 분노한 민심을 수습하기에는 역부족이라는 것이 정치권의 평가다.
이준석 대표는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윤 전 총장 캠프는 위기 대응 능력을 더욱 높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번 사건은 국민의힘 대선 후보 경선 판도를 뒤흔들 메가톤급 변수로 떠올랐다.
한 영남권 의원은 22일 “이번 사건은 국민 정서를 정면으로 거스르는 사건”이라며 “‘개 사건’으로 명명되면서 파급력도 크다”고 말했다. 다른 영남권 의원은 “윤석열 전 총장 측이 연속적으로 대형 사고를 치면서 불안감이 폭발하고 있다”면서 “홍준표 의원이 엄청난 반사효과를 누릴 것”이라고 분석했다.
윤 전 총장 측은 “윤 전 총장은 정말 아무 것도 몰랐다”면서 “실무진의 실수가 맞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파장이 확산되자 상황을 예의주시하며 대책 마련에 나섰다.
윤 전 총장 측 관계자는 “윤 전 총장이 계속 사과하면서 국민들의 용서를 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국민의힘 내부와 윤 전 총장을 지지하는 의원들 사이에선 강력한 조치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쏟아지고 있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윤 전 총장이 광주를 직접 방문해 사과해야 한다는 방안이다. 한 수도권 의원은 “윤 전 총장이 계란을 맞더라도 광주를 찾아 무릎을 꿇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진정성 있게 사죄하는 것 말고는 다른 방법이 없다”면서 “윤 전 총장 입장에서는 이번 파문을 극복하기 위해선 어떤 일이라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다른 의원은 “윤 전 총장이 광주를 방문하더라도 경선 이후 찾아야 한다”면서 “급하게 광주를 찾았다가 ‘정치적 쇼’로 비쳐지는 등 오히려 역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윤 전 총장은 국민의힘 대선 후보 선출 직전인 11월 1∼4일 광주를 방문할 계획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김종인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의 조기 등판 아이디어도 거론된다. 윤 전 총장을 돕는 한 의원은 “이번 위기를 돌파할 수 없는 사람은 김종인 전 위원장밖에 없다”면서 “김 전 위원장이 지난해 8월 국립5·18민주묘지를 방문해 무릎 사죄를 했던 것도 이번 위기를 극복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윤석열 캠프 내부의 사고가 너무 잦다”면서 “김 전 위원장이 빨리 나서 캠프를 확실하게 이끌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 전 총장은 전날 TV토론 이후 서울 종로구의 한 식당에서 김 전 위원장을 만난 것으로 확인됐다.
윤석열 캠프 관계자는 “TV토론을 마치고 윤 전 총장과 김 전 위원장이 만찬을 가졌다”며 “어떤 대화가 오고 갔는지는 알지 못한다”고 설명했다. 두 사람은 배석자 없이 만난 것으로 전해졌다.
‘전두환 옹호 발언’과 ‘개 사과 사진’으로 구설에 오른 윤 전 총장은 김 전 위원장에게 조언을 구했을 가능성도 있다. 다음달 5일 윤 전 총장의 본선 진출이 확정되면 김 전 위원장이 캠프 선대위원장을 맡을 수도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윤 전 총장 캠프 내부의 인적 쇄신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영남권 한 의원은 “이번 사건과 관련해 캠프 고위 관계자 등의 경질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손재호 기자 say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