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코로나19 대응 과정에서 특히 고통이 컸던 업종부터 단계적으로 방역을 완화하겠다고 밝혔다. 단 백신 접종 완료자 중심으로 풀어나간다는 기조는 유지하겠다고도 했다. 백신의 감염 및 중증화·사망 예방 효과를 고려할 때 불가피한 선택이라고 부연했다.
김부겸 국무총리는 22일 코로나19 일상회복지원위원회 모두발언에서 이같이 밝혔다. 김 총리는 “‘자율과 책임’의 방역을 더 강화해야 한다”며 “업계 자율로 (방역) 수칙 이행 노력을 분명히 뒷받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일상회복지원위원회는 지난 13일 출범한 이후 이날로 두 번째 전체 회의를 하게 됐다. 앞서 ▲경제민생 ▲사회문화 ▲자치안전 ▲방역의료 4개 분과위원회별로는 각각 논의를 진행했으나 분과 간 의견 조율을 아직 거치지 않은 만큼 이날 전체 회의가 중요한 분기점으로 꼽힌다. 논의를 거친 일상회복의 구체적 속도와 폭은 오는 25일 공청회를 통해 초안 형태로 공개될 예정이다.
국내 신규 확진자는 이날 0시 기준 1440명으로 집계됐다. 전날에 이어 이틀 연속 1400명대에 그치며 지난 7월 이후 14주 만에 요일별 최소치를 기록했다. 백신 접종 완료율은 인구 대비 68.2%까지 올랐다.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은 향후 2차 접종 예약자 수를 고려할 때 전 국민 70%가 오는 25일쯤 접종을 완료할 것으로 예상했다.
의료 대응 체계 개편이 성공적 일상회복의 핵심으로 꼽히는 가운데 서울 서대문구에선 재택 치료를 받던 60대 확진자 A씨가 숨진 것으로 확인됐다. 이날 오전 6시 51분 보호자는 A씨가 기력저하 증세를 보인다며 119에 신고했으나 14분 뒤 도착한 것은 코로나19 확진자를 이송할 준비를 갖추지 못한 일반구급대였다. 전담구급대는 25분이 더 지난 후에야 도착했다. 결국 A씨는 병원으로 옮겨진 뒤 9시 30분 숨졌다.
A씨는 고령임에도 기저질환 등 입원요인이 없었다. 전날 역학조사 당시엔 증상도 없었다. 방역 당국은 “응급상황 발생 시 신속 대응할 수 있도록 유관기관과 재택치료 대상자 정보를 실시간 공유하겠다”며 “이송체계 강화방안도 마련하겠다”고 했다.
송경모 기자 ss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