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상나무·분비나무 등 멸종위기 고산 침엽수종의 쇠퇴도가 2년 전보다 더욱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산림청은 멸종위기 고산 침엽수종의 보존 방안이 담긴 ‘제2차 멸종위기 고산 침엽수종 보전·복원 대책’을 18일 발표했다.
산림청은 2016년부터 구상나무와 분비나무, 가문비나무, 주목, 눈잣나무, 눈측백, 눈향나무 등을 멸종위기 7대 고산 침엽수종으로 관리하고 있다.
7대 고산 침엽수종은 한라산·지리산 등 전국 31개 산지 약 1만2094㏊(국내 산림면적의 0.19%)에 걸쳐 370여만 그루가 생육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2019~2020년 모니터링을 실시한 결과 구상나무림은 약 33%, 분비나무림은 약 31%, 가문비나무림은 약 40%를 기록하는 등 전체 나무들이 평균 32%의 쇠퇴도를 보였다. 이는 2017~2018년 조사 결과인 26% 대비 약 6%p 증가한 수치다.
어린나무의 출현 빈도의 경우 구상나무림은 43.5%, 분비나무림 15%, 가문비나무림은 14.9%가 각각 감소했다. 쇠퇴도가 증가한 지역의 어린나무 출현 빈도 감소는 고산 침엽수종유지에 위협요소로 작용한다.
이에 따라 산림청은 현지조사방식 개선 및 원격탐사 기반의 공간 관리체계 강화, 복원소재의 국가관리 체계 확립 등을 추진키로 했다.
먼저 현장 모니터링과 더불어 생육 유형별 서식지 환경 특성을 정밀 조사해 쇠퇴 원인에 대한 가설을 검증하고, 조사결과의 축적을 위한 정보 관리체계를 구축한다.
또 산악기상관측망 관측정보와 위성정보를 이용해 산림생태계에 대한 상시 감시체계를 구축, 고산 침엽수종 취약지역을 선제적으로 파악한다.
보다 체계적인 복원을 위한 표준절차 및 지침도 마련한다. 수종별·집단별 복원 우선순위 선정을 위해 자생 집단의 유전다양성을 평가하는 한편 대상지의 특성평가도 수행한다.
복원소재는 유전다양성의 유지를 위해 철저한 이력관리를 시행하고 전담 증식센터를 설치한다.
나무에서 떨어진 종자나 뿌리, 그루터기의 움싹 등 자연의 힘으로 후계림을 조성하는 ‘천연갱신’을 유도하기 위한 방안도 마련한다.
이밖에 전국 9곳에 설치된 산림생태관리센터를 현장 중심 연구기관으로 기능을 강화해 지역별 모니터링 특화기관으로 육성한다.
임상섭 산림청 산림보호국장은 “이번 대책은 1차 대책을 좀 더 구체화해 실행에 착수하기 위한 정책 과제를 담았다”며 “고산 침엽수종의 쇠퇴현상을 완화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산림청은 고산 침엽수종의 개체군 유지를 위해 지난 2019년부터 경북 봉화·제주·전북 무주에 8.6㏊ 규모의 현지 외 보존원을 조성하고 1만3000여 그루의 후계목을 육성하고 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