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서울시청에서 열린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서울시 국정감사에선 서울시가 없고 경기도만 있었다. 10년 만에 서울시로 복귀한 오세훈 시장마저 대장동 자료 설명판을 준비하며 ‘이재명 때리기’에 집중했다. 여야 고성이 오가며 사실상 ‘경기도 국감 이틀차’ 양상을 보였다.
여당이 포문을 열었다. 민형배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국감이 시작하자마자 의사진행발언을 신청하며 “어제 국감에서 사상 초유의 증거자료 조작 사진을 봤다”며 “국감장을 더럽힌 김용판 (국민의힘) 의원은 자격이 없기 때문에 사보임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전날 경기도 국정감사에서 경기도지사 자격으로 출석한 이재명 민주당 대선후보의 ‘조폭연루설’을 제기했다. 김 의원은 이 후보가 성남시장 재임시절 국제마피아파 조직원으로부터 약 20억원을 지원받았다는 근거자료로 현금다발 사진을 공개했지만, 이 지사와 무관한 사진으로 드러났다. 이에 민 의원은 “조폭과 연계된 공작정치”라고 주장했다.
이에 국민의힘 의원들이 강하게 반발하며 의사진행발언을 요구했다. 발언기회를 얻은 김용판 의원은 “손바닥을 하늘을 가릴 수 없다”며 “실체는 명확하다. 박철민이 제시한 진술서의 진정성이 있다. 사진 한 장 (해프닝)으로 전체를 덮으려 하고 국민을 호도하려는 자세는 적절치 않다”고 반박했다.
이후에도 여야 고성이 한참 이어지면서 40분이 지나서야 첫 시정질의가 이어졌다. 하지만 이 또한 오래 가지 못했다. 국민의힘 의원들은 오 시장에게 ‘대장동 의혹’에 대해 거듭 질의했다. 이영 국민의힘 의원은 “서울시는 왜 대장동처럼 민관합동으로 추진하지 않는지” 묻자 오 시장은 “대장동 개발은 시간이 많이 들어가고 위험이 있는 일은 공공이 해결하고 돈을 버는 데는 민간이 참여하기 시작한 형태로 진행했다”며 “서울시로서는 상상조차 할 수 없는 매우 희한하고 상상조차할 수 없는 일”이라고 답했다.
오 시장은 대장동 개발사업 설계에 대한 의견을 묻는 박수영 국민의힘 의원 질의에 대해서는 사전에 준비한 설명판을 꺼내들며 설명하기도 했다. 박재호 민주당 의원은 “대장동 도면을 들고 나온 서울시장 이해가 안 된다”고 지적했다.
야당 의원들의 대장동 질의가 이어지자, 여당 의원들은 “여기가 경기도 국감장이냐 서울시 국감장이냐”며 반발했다. 이해식 민주당 의원은 “국민의힘 의원들이 경기도에서 뺨 맞고 서울시에서 화풀이한다”며 오 시장에게는 “호도하지 말라”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대장지구도 원래 공공개발을 추진했지만 이명박 전 대통령 시절 LH가 공영개발을 포기했다”며 “이 지사도 성남시장 때 공영개발을 추진했지만, 시의회가 반대해 민관합작으로 갈 수밖에 없었다”고 말했다. 이어 “오 시장이 사실을 호도하는데 (민간에) 초과이익에 대해 다시 계약을 요구하면 손실 부담을 같이 지자는 확약서를 요구하거나 확정된 이익을 대폭 감액하고자 하는 주장을 하게 된다”며 “그래서 지금 포천, 구리 등도 이 고민을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후에도 여야 의원들이 대장동 이슈를 두고 고성을 주고받으며 결국 90분 만에 정회했다.
권중혁 기자 gree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