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의 경기도 국정감사를 두고 정치권에서는 대체로 선방했다는 평가가 두드러졌다. 다만 대선가도 청신호가 켜졌다고 평가하기는 아직 이르다는 의견이 많았다.
정치 전문가들은 이 후보가 ‘대장동 개발 의혹’으로 얼룩진 국감을 비교적 잘 넘겼다는 평가를 19일 내놨다. 여야 모두 ‘결정적 한 방’을 제시하지 못하면서 방어하는 입장인 이 후보가 판정승을 거뒀다는 분석이다.
윤태곤 더모아 정치분석실장은 “이 후보도, 국민의힘도 특별히 새로운 사실 없이 기존 주장을 반복하는 데 그쳤다”며 “이 후보로서는 현상 유지를 하면서도 경기지사로서 책임은 덜어낸 셈”이라고 해석했다.
그러나 대선 유불리에 대한 전망은 엇갈렸다. 일단 민주당이 경선 후유증을 앓는 상황에서 지지층 결집에는 도움이 됐을 것이라는 데 의견이 많았다. 그러나 중도층에 어떤 영향을 미쳤을지에 대해선 다른 분석들이 나왔다.
최창렬 용인대 교수는 “여야 지지자들이 각자 보고 싶은 면만 봤을 것 같다”며 “대대적인 인식 전환에는 한계가 있었던 국감”이라고 평가했다.
민주당 내부에서도 “대장동 건이 깔끔하게 정리되기는 당분간 어렵다. 여진이 이어질 것”이라는 평가가 나왔다. 한 초선 의원은 “이 후보가 ‘나는 결백하다, 애초 이런 의도였고 많이 노력했다’ 정도의 메시지는 충분히 전달했다고 본다”면서도 “다만 일반 국민이 그것을 얼마나 받아줄지가 관건”이라고 분석했다.
이 후보가 방어전략으로 일관하면서 중도층으로부터 역풍을 맞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다. 신율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이 후보가 억울하다면 대장동 관련 회의록 등 핵심 자료들을 들고서 적극적으로 해명했어야 했다”며 “정황상 자신은 결백하다는 말만 되풀이하는 정도로는 중도층의 인식을 전환하긴 어려울 것”이라고 지적했다. 황태순 정치평론가는 “부인이나 회피만 해서는 중도층 사이에서 ‘뻔뻔하다’는 부정적 이미지로 각인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여야 의원들은 서로 유리한 국감이었다며 신경전을 펼쳤다. 민주당은 이 후보가 대장동 의혹에 대해 차분하게 설명하는 기회였다며 호평했다. 한 중진 의원은 “대다수 의혹이 충분히 해명됐다고 본다. 공격이 실패하면 수비가 이긴 것”이라며 “중도층의 반응이 중요한데, ‘대장동 별 것 없었네’라고 생각할 것으로 본다”고 했다.
그러나 국민의힘은 이 후보가 오히려 의구심을 더 키웠다고 비판했다. 박완수 의원은 MBC 라디오에서 “이 후보가 의원들 질의에 핵심적인 답변을 하지 않고 지속해서 국민의힘 책임이라고만 되풀이했다”며 “국감장에서 낄낄거리는 모습을 보이는 등 답변 태도에 문제가 있었다”고 지적했다.
오주환 기자 joh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