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는 성남 대장지구 개발 의혹 사태로 구속된 유동규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기획본부장에 대해 “개인적으로 배신감도 느낀다”고 말했다. 또 “수치스럽다”는 표현까지 쓰며 자신과는 무관한 일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이 후보는 그러나 대장동 사업 자체가 민간사업자들에 특혜를 제공한 것이라고 주장하는 국민의힘 공세에는 단호하게 맞섰다. 오히려 공공개발을 막아섰던 세력과 대장동 사업으로 이익을 본 인사들이 국민의힘 쪽이라고 조목조목 반박했다.
경기지사직을 유지하고 있는 이 후보는 18일 수원 경기도청에서 열린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의 경기도 국정감사에 기관증인으로 나섰다. 이 후보는 “단순한 이치가 있다. 누가 도둑이냐면 장물을 나눈 사람이 도둑”이라고 말했다. 김도읍 국민의힘 의원이 이 후보를 ‘그분’이라며 대장동 사태의 몸통으로 지목하자 반격을 가한 것이다. 곽상도 전 국민의힘 의원(현재 무소속)을 비롯해 민간사업자로부터 금전을 제공받은 인사 대부분이 국민의힘 소속이거나 관련이 있는 사람들이라고 역공을 편 것이다. 이 후보는 대장동 사업 당시 5503억원 이익을 환수한 점을 민간개발로 진행된 부산 엘시티 사업과 직접 비교해 가며 자세히 설명했다.
이 후보는 이날 국감에서 유 전 본부장의 비리 연루 혐의에 대해 유일하게 고개를 숙였다. 이 후보는 “제가 일을 맡긴 부하직원 중 하나”라며 “‘돈이 마귀’라고 수도 없이 말했고, 그렇게 청렴을 강조하고 노력했는데, 정말 수치스럽게 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국감 출석 직전엔 “배신감을 느낀다”고 토로했다. ‘대통령이 되면 사면할 것이냐’는 질문에는 “그런 부패사범을 어떻게 사면하겠냐”며 “말도 안 된다”고 강조했다.
국민의힘은 이 후보의 변호사비 대납의혹, 음주운전 전력, 형수욕설 파문까지 거론하며 파상공세를 폈다. 김도읍 의원은 “그 분(이 후보)은 청와대보다 감옥에 가까운 이유”라고 꼬집었다. 김용판 의원은 성남시장 시절 이 후보와 함께 사진을 찍은 인사들을 보여주며 이 후보가 성남 내 조직폭력배와 관계가 있다는 의혹을 제기하기도 했다. 이 후보는 “그렇게 했다면 제가 이 자리에 있을 수 없을 것”이라고 답했다.
이 후보는 비교적 차분한 답변태도를 유지했다. 그러나 ‘사이다 기질’을 참지 못한 장면도 있었다. 이 후보는 “제가 만약 진짜 화천대유의 주인이고 돈을 갖고 있다면 길 가는 강아지에게 던져줄 지라도 ‘유서대필’ 사건을 조작한 곽 의원 아들 같은 분에게는 한 푼도 줄 수 없다”고 말했다.
이 후보는 질의에 답변하는 과정에서 윤석열 전 검찰총장을 거론하기도 했다. 최측근인 정진상 전 경기도 정책실장이 사태에 연루되면 후보를 사퇴하겠냐는 질의에 이 후보는 “윤 전 총장의 측근이 확실한 ‘그분’의 문제에 국민의힘이 답하면 답하겠다”고 받아쳤다. 윤 전 총장의 측근이었던 손준성 검사가 연루된 고발사주 의혹을 에둘러 거론한 것으로 해석된다.
수원=정현수 기자 jukebo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