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전기차 충전인프라 구축…2대당 1개 최소한 확보

입력 2021-10-18 15:35 수정 2021-10-18 15:37

광주시가 전기자동차 보급 활성화를 위해 충전 기반 구축에 나선다. 2045 탄소 중립 에너지 자립 도시 실현에 앞서 전기차 운행자의 충전 편의를 제공하자는 것이다.

광주시는 “내년 1월28일부터 강화되는 친환경자동차법에 발맞추는 차원에서 전기차 2대당 최소한 공용 충전기 1대를 갖춘다”고 18일 밝혔다.

법 개정에 따라 내년부터 전기차 충전시설 설치의무 대상이 확대된다.

아파트는 500세대 이상에서 100세대 이상, 공중이용시설·공영주차장은 총 주차면수 100면 이상에서 50면 이상, 신축시설은 총 주차 면수의 0.5% 이상에서 5%, 기축시설은 2%로 각각 강화된다.

정부는 2025년까지 전기차 보급 대수를 113만대까지 늘리겠다는 목표다. 이에 광주시는 정부 방침에 발맞춰 내년에 전기차 3846대(승용차 3200, 전기화물 620, 전기버스 26)에 대한 보조금을 지원한다.

이에 따라 광주지역 전기차 예상 등록 대수는 내년에 8568대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한다.

이로 인해 충전기 보급도 늘어날 전망이다. 시는 전기차 한 대당 충전기 비율을 2대 1로 정하고, 현재 공용충전기 2695기에다 1589기를 더해 4284기를 구축할 방침이다.

시는 자체 예산을 편성과 함께 한국에너지공단, 한국환경공단, 민간충전사업자와 지속해서 협의해 전기차 충전 기반 보급 확산에 나선다.

지난 9월 말 현재 국내 공용충전기 1기당 전기차 보급대 수는 광주 1.8, 울산 2.1, 부산 2.5, 대구 2.7, 서울 3.0, 대전 3.2, 인천 3.4 등이다.

현재 광주지역에 등록된 전기자동차는 모두 4779대, 공용 충전기는 2695대다. 광주는 비교적 충전 인프라가 양호한 셈이다.

시는 아파트나 직장 등 시민들이 장기간 거주하는 장소에는 완속 충전기를 설치하고, 공공시설이나 공영주차장 등 단기강 머무는 장소에는 급속충전기를 설치해 공용 충전기 이용 효율을 높이기로 했다.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최적의 입지를 발굴, 공용충전기 보급 확산과 전기차 이용자 편의 제공에 앞장서기로 했다.

광주시 나해천 대기보전과장은 “언제 어디서든 전기차를 충전할 수 있는 인프라 조성을 위해 역량을 결집하겠다”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