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오수 검찰총장이 윤석열 전 검찰총장이 수사에 참여한 부산저축은행 사건이 봐주기식으로 마무리됐다는 의혹에 대해 “관련 기록 검토해 철저히 수사하겠다”고 밝혔다.
김 총장은 18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대검찰청 국정감사에서 송기헌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화천대유 등의 종잣돈이 2011년 윤 전 총장이 수사 주임검사였던 부산저축은행 부실 대출 자금이라는 취지로 질의하자 “언론이 제기한 의혹은 모두 수사 범위 안에 포함하도록 지시했다”며 이같이 대답했다.
김 총장은 ‘윤 전 총장 징계 판결 중 수사정보정책관실(현 수사정보담당관실) 문제가 있는데 해당 검사의 책임을 물어야 할 것 같다’고 한 최기상 민주당 의원의 질의에는 “윤 전 총장 측에서 항소도 해, 감안해서 종합해서 살펴보겠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 14일 서울행정법원은 윤 전 총장이 지난해 말 법무부로부터 받은 정직 2개월의 징계를 유지하라고 판결했다. 징계 사유로 정당하다고 인정한 내용 중에는 대검 수사정보정책관실이 주요 사건 재판부를 사찰한 의혹이 있는 문건을 작성·배포한 점도 포함돼 있었다.
다만 김 총장은 수사정보담당관실을 폐지할 생각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개선하는 게 합리적이지 않을까”라며 “법무부와도 협의해보겠다”고 했다.
그는 대장동 의혹 수사를 놓고 검·경의 수사가 엇박자를 내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데 대해 “오늘도 아마 수사팀장들끼리 (통화)했다고 들었고, 저도 경찰청장과 통화했고, 중앙지검장과 경기남부경찰청장도 수시로 통화하고 있다”며 “종전 수사지휘 체제와 비교해 처음으로 경찰과 협력하는 것이 조금 어설픈 점도 있어 보이겠지만 새로운 시스템을 잘 정립하겠다”고 언급했다.
김이현 기자 2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