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가정폭력·성폭력 발생 초기부터 지방정부와 경찰이 공동 대응하는 체계 구축 시범 사업을 전개한다.
가정폭력·성폭력 발생 시 지방정부와 경찰의 개별 대응에 따른 후속 관리 미흡 등 한계를 극복해 가정폭력·성폭력 피해자 구제에 좀 더 완벽을 기하겠다는 것이 경기도의 설명이다.
경기도는 가정폭력·성폭력 신고 시 피해자 초기 상담, 복지 지원, 지원기관 연계 등을 함께 수행하는 ‘가정폭력·성폭력 공동대응팀’을 부천시와 하남시에서 시범 운영한다고 14일 밝혔다.
가정폭력·성폭력 공동대응팀은 시·군이 채용한 상담사와 통합사례관리사, 경찰이 파견·지원한 APO(학대예방경찰관) 등으로 구성되며 시·군이 별도 마련한 운영 사무실에서 근무한다.
해당 시·군에 주소를 두거나 생활권인 가정폭력·성폭력 피해자가 112로 신고하면 경찰의 초기 대응 이후 공동대응팀이 사례 회의 등을 거쳐 전화 모니터링, 필요시 가정 동행 방문, 복지서비스 및 지원기관 연계 등을 수행한다.
도는 공동대응팀 운영 모델 개발, 시·군과 경기남·북부경찰청 협력 지원, 관련 시설·종사자 자문 등을 맡는다.
도는 올해 2개 시를 시작으로 내년 2개 시에서 공동대응팀을 추가 운영하는 등 사업을 순차적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도는 이번 사업 추진을 위해 사전 희망 시·군 조사 이후 공모를 진행했고, 지난 12일 선정심의위원회를 통해 운영 시·군을 확정했다.
도는 공동대응팀 사업 운영에 앞서 올해 1월부터 총 3회의 전문가 협력체계(TF팀) 회의를 진행했다.
아울러 시·행정담당자와 현장 상담소들을 대상으로 사업설명회 개최 등 다양한 의견을 수렴했다.
이순늠 도 여성가족국장은 “공동 대응체계가 후유증이 심각한 가정폭력·성폭력 피해자에 대한 후속 관리를 강화하는 만큼 피해자 보호 지원, 폭력 재발 방지 등으로 이어지기를 기대하고 있다”며 “가정폭력과 성폭력, 데이트폭력, 스토킹 등은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적인 문제임을 인식하고 사업을 확대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