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5년까지 어린이 통학차량 모두 전기·수소차로

입력 2021-10-13 15:37
통학버스들이 지난해 4월 서울 서초구 한 공영주차장에 세워져있다. 뉴시스

정부가 2035년까지 어린이 통학차량을 전기·수소차 등 무공해차로 100% 전환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환경부는 13일 제18차 사회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 같은 계획을 수립했다고 밝혔다. 교체 대상은 어린이 통학차량 8만3000여대다. 이 중 2015년 이전에 제작된 4만4000대를 2030년까지 생산 연도에 따라 단계적으로 교체한다는 계획이다.

지난해 12월 기준 경찰청에 등록된 어린이 통학차량 중 88%(7만3000여대)는 경유차가 차지하고 있다. 통학차량으로 대체할 만한 전기·수소버스가 마땅치 않았기 때문이다. 전국에 전기버스 어린이 통학차량은 11대에 불과하다. 환경부 관계자는 “다양한 전기·수소버스가 출시되는 내년에는 국공립 유치원과 초등학교에서 운행하는 노후 차량 300대를 무공해차로 시범 전환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무공해차 수요·공급 촉진을 위한 제도 개선도 추진한다. 자동차 제조·판매사에 통학 차량 생산·판매 실적에 대한 가산점을 부과하고 대기환경보전법상 공공기관 무공해 차량 의무구매제 대상에 어린이 교육시설을 포함한다는 방침이다. 2023년 4월부터는 대기관리권역 내 경유 어린이 통학차량의 신규등록도 제한한다.

이와 함께 환경부는 전기차 공공급속충전기와 민간충전사업자의 충전기 정보를 한 곳에서 볼 수 있는 ‘통합관리 플랫폼’을 연말까지 구축하기로 했다. 전기차 이용자는 통합관리 플랫폼 구축 이후 충전기 이용 가능 정보를 30분에서 5분 단위로 확인할 수 있다. 이 플랫폼은 민간충전사업자의 충전기 안내·예약·결제서비스에도 활용될 예정이다.

세종=최재필 기자 jpcho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