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내 산업단지 입주기업의 대다수는 중소기업으로 이들 기업들은 인력확보와 교통 여건 개선 등의 정책적 지원을 가장 시급하게 여기는 것으로 조사됐다.
경기도는 산업단지 특성화 전략 및 정책방향 수립을 위한 ‘경기도 산업단지 실태조사 연구용역 최종보고회’를 통해 도내 산단의 입주기업 97%가 중소기업이라고 12일 밝혔다.
이번 산업단지 실태조사는 경기도가 한국기업데이터㈜에 의뢰해 지난 6월 3일부터 9월 8일까지 경기도 일반산업단지 및 도시첨단산업단지 내 1만3000여 개 업체를 대상으로 조사원 방문 면접조사 방식으로 진행됐다. 경기도는 전국에서 처음으로 국가산단이 아닌 일반산단을 대상으로 전수조사를 실시했다.
실태조사의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현재 경기도 일반산업단지 및 도시첨단산업단지의 기업 가동율은 68.2%로 조사됐다. 총 1만3628개 입주업체 중 9054개사가 현재 가동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산단 입주기업 사업체 규모는 자산총액 5000억원 미만 규모의 중소기업이 절대 다수인 97.1%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반해 자산총액 5000억원 이상 중견기업과 자산총액 10조원 이상인 대기업은 각각 2.3%, 0.5%에 불과했다.
산업단지 내 전체 고용인원은 18만5290명으로, 이중 내국인 생산직 노동자가 61.3%로 가장 많았다. 이어 외국인 생산직 노동자가 5.6%, 연구개발직은 8.8%, 기타 관리직 24.3%의 수치를 보였다. 이 밖에 산단 내 사업장 소유형태는 자가가 63.7%로 과반을 차지했고, 임차 형태도 36.3%나 됐다.
이번 실태조사에서는 전체 조사대상 기업 중 1,000여 개 사를 표본으로 선정, 정책수요조사도 함께 실시했다. 그 결과, 가장 시급하게 개선이 필요한 분야는 ‘인력확보’와 ‘교통 및 주차여건’ 등이었다. 또한 산업단지를 총괄적으로 관리하는 ‘전담 컨트롤 타워’와 함께, 노동자 삶의 질 향상 센터 설치, 인력양성 센터 확충, 장비유지보수센터 설립 등의 필요성도 함께 제기됐다.
도는 이번 실태조사 결과를 면밀히 검토해 다음 달부터 산업단지 종합정보 시스템구축, CEO협의체 구성 및 공동 협업사업 지원 등의 사업을 경기과학경제진흥원과 함께 추진할 계획이다.
송은실 도 산업정책과장은 “국가산단이 아닌, 일반산단을 대상으로 전수조사를 실시한 것은 경기도가 전국 처음인 만큼, 큰 의미가 있다”며 “정책수요 분석결과를 도정에 적극 반영해 더욱 구체적이고 실행가능한 경기도만의 산업단지 특성화 전략을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의정부=박재구 기자 park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