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김웅 의원이 ‘고발 사주’ 의혹 제보자인 조성은씨와 통화한 기억이 나지 않는다는 입장을 밝혔다. 자신과 조씨의 통화 녹취가 언론에 유출된 것을 두고 ‘낡은 정치 수법’이라고 비판하기도 했다.
김 의원은 8일 국회 환경노동위 국정감사 참석 전 ‘조씨와 통화했던 기억이 있는지’를 묻는 취재진의 질문에 “처음부터 그런 사실 자체에 대해 부인한 게 아니라 기억을 못 한다고 얘기했다”고 답했다. 이어 “조씨에게 자료를 줬다는 것 자체도 기억이 안 난다고 얘기했다”고 말했다.
공수처 고발 사주 의혹 수사팀은 최근 디지털 포렌식을 통해 조씨와 김 의원의 통화 녹취파일 2건을 복구했다. 녹취 파일에는 김 의원이 조씨에게 “(고발장을) 우리가 만들어서 보내주겠다” “대검이 억지로 받은 것처럼 하세요. 내가 얘기해 놓겠다”거나 “대검에 접수해라. 나는 빼고 가야 한다”고 말한 내용 등이 담긴 것으로 전해졌다.
김 의원은 “혹자는 통화까지 했는데 모르냐고 이야기한다”며 “준 사람은 기억 못 하는데, 받은 사람은 기억한다면 그것 자체도 허위일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고 주장했다. 또 김 의원이 조씨에게 ‘고발장을 만들어 보내겠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진 것에 대해선 “전체 맥락이 전혀 나오지 않은 상태”라며 부인했다.
김 의원은 이날 “검찰에서 포렌식했다는 자료들이 특정 매체를 통해 유출되고 있다”며 “공무상 비밀누설 및 피의사실 공표죄가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런 상황을 두고 그는 “대장동 비리를 은폐하기 위해 (녹취 내용을) 언론에 흘리고 있는데 낡은 정치 수법”이라며 “정치 공작은 당장 그만두고, 정정당당하게 수사기관의 수사를 통해 밝혀지는 게 맞는다”고 비판했다.
김 의원은 조씨와의 통화 녹취 내용이 언론에 취사 선택돼 보도되고 있다면서 법적 조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박구인 기자 capta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