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국회 복지위 국정감사에서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이상 반응으로 고통 받는 피해자와 그 가족들의 성토가 쏟아졌다. 이들은 정부가 백신과 이상 반응 간의 인과성을 폭넓게 인정하고 피해를 보상해줘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날 참고인으로 출석한 A씨는 지난 8월 화이자 백신 1차 접종을 받은 아버지가 이튿날 심정지 상태에 빠진 뒤 사망했다며 “많은 사람이 접종 후 짧은 시간 내 상태가 악화해 사망한다. 연관성이 없다고 당당히 주장할 수 있나”라고 따졌다.
그는 “책임 있는 국가의 모습이 보이지 않는다. 부작용을 책임진다던 약속을 지키라”며 “관련이 없다는 것을 증명하지 못하면 인정해주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고 요구했다.
B씨는 부인이 화이자 백신 2차 접종 5일 후 심근염 진단을 받았고, 심장 이식 수술까지 받아 생업을 제쳐두고 간병에 매달리고 있다고 호소했다.
그는 “부인이 심장 쪽으론 (기저질환이) 하나도 없었다. 그런데 질병청에서 인과성을 부정하는 안내문을 달랑 한 장 받았다”면서 “집사람과 같은 병으로 배상받은 분이 한 분 있는데, 우린 안됐다. 왜 그런 건지 자세히 밝히지도 않았고, 보고서도 못 보여준다고 했다”고 비판했다.
지난 3월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 후 중증 재생불량성 빈혈 진단을 받았다는 C씨도 “인과성 인정이 안 된다는 종이 한 장으로는 납득하기 어렵다”며 “무슨 근거로 인과성이 없다고 하느냐”고 따져 물었다. C씨는 “몸과 마음이 무너졌다”며 “한 달 약값만 100만원으로 경제적 부담도 심하다”고 토로했다.
참고인들의 호소를 들은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절차상에 많은 부족함과 미흡함이 있었다. 신속하게 개선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 어떤 이상 반응이 생길지 가능성을 열어놓고 인과성의 범위를 확대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권덕철 보건복지부 장관도 “그간의 대응 과정에서 잘못된 부분을 개선하고 정부 내에서 여러 지원 방안을 같이 강구하겠다”고 약속했다.
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